2분기 산업대출 14.5조↑… 부동산 PF 구조조정에 증가세 둔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예슬 기자
김예슬 기자
수정 2025-09-05 12:28
입력 2025-09-05 12:28
이미지 확대
11일 서울 시내 한 아파트 건설 현장의 모습. 2025.8.11. 연합뉴스
11일 서울 시내 한 아파트 건설 현장의 모습. 2025.8.11. 연합뉴스


올해 2분기 산업별 대출이 14조 5000억원 늘었지만 증가세는 주춤했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자금 수요는 이어졌으나, 계절 요인 소멸과 부동산 경기 부진이 겹치면서 전 분기보다 증가 폭이 줄었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예금취급기관 산업별대출금’에 따르면 2분기 대출 잔액은 1994조원으로, 전 분기 말(1979조 5000억원)보다 14조 5000억원 증가했다. 증가 규모는 1분기(17조 3000억원)보다 줄었고, 지난해 같은 분기(25조원)와 비교해도 크게 못 미쳤다.

제조업 대출은 6조원 늘었다. 산업은행이 집행한 반도체 설비투자 지원 자금(총 7조 6500억원)으로 전자·컴퓨터·통신 업종 대출은 확대됐다. 그러나 1분기 한도대출 재취급 등 계절 요인이 사라지면서 운전자금 수요가 줄어 전체 증가 폭은 축소됐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반도체산업 정책자금으로 일부 업종은 확대됐지만, 조선·방산업체들의 실적 개선으로 운전자금 수요가 줄어든 영향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서비스업 대출은 7조 2000억원 증가해 1분기(7조 8000억원)보다 늘어난 폭이 작았다. 도·소매업(3조 3000억원)과 숙박·음식점업(1조 2000억원)은 업황이 나아졌음에도 자금 수요가 둔화했다. 특히 부동산업 대출은 9000억원 줄며 2분기 연속 감소했다. 2012년 이후 12년 만의 연속 감소다. 김 팀장은 “지방 부동산시장 부진에 따른 PF 구조조정 과정에서 부실채권이 매각·상각된 영향”이라고 말했다.

건설업 대출은 2000억원 감소하며 줄어드는 흐름을 이어갔다. 건설기성액이 지난해 2분기 43조원에서 올해 35조 7000억원으로 축소된 것이 배경이다.

이미지 확대
‘6억 주담대 제한’ 서울 18개 구 대출 감소 타격 29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2025.6.29. 연합뉴스
‘6억 주담대 제한’ 서울 18개 구 대출 감소 타격
29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2025.6.29. 연합뉴스


용도별로는 운전자금 대출이 8조 8000억원 늘었으나 전 분기(9조 5000억원)보다 증가세가 둔화했다. 시설자금도 5조 7000억원 늘었지만, 서비스업 내 금융·보험업이 감소로 돌아서면서 전체 증가 폭은 줄었다.

업권별로는 예금은행 대출이 14조 3000억원 늘어 전 분기(13조 8000억원)보다 확대됐다. 반면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은 2000억원 증가에 그치며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 대출이 7조 5000억원 늘며 증가세가 커졌다. 중소기업은 5조 7000억원 증가에 그쳐 전 분기(7조 6000억원)보다 둔화했다. 개인사업자 대출은 7000억원 늘어 증가세가 확대됐다.

김예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