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기준금리 두 달째 인하… “한국, 연내 인하 쉽지 않을 듯”

황비웅 기자
수정 2025-10-31 00:00
입력 2025-10-30 18:16
집값 상승 기대심리 꺾이지 않아
워싱턴 AFP 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지난달에 이어 10월에도 기준금리를 인하했다. 하지만 정부의 연이은 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집값 상승 기대감이 여전해 한국은행의 연내 금리 인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미 연준은 29일(현지 시각)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정책금리(기준금리)를 연 4.00~4.25%에서 3.75~4.00%로 0.25%포인트 내렸다. 지난달에 이어 두 달 연속 인하다. 미국과 한국(연 2.5%)의 금리 차이는 1.5%포인트(상단 기준)로 줄었다.
연준은 이번 금리 결정에 대해 “경제 활동은 완만한 속도로 확장 중이며, 고용 증가세는 둔화되고 실업률은 소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연준은 통화 완화적 조치로 오는 12월 1일부터 양적긴축(QT)을 종료하기로 했다. 다만 제롬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12월 추가 인하 여부에 대해 “결정되지 않았다”며 금리 인하 속도 조절 가능성을 시사했다. 시장에서는 이 발언을 매파적(통화긴축 선호)으로 해석했다.
연준의 두 차례 연속 금리인하로 한은의 금리 운용에는 숨통이 트였다. 한미 간 금리 차가 1.50%포인트까지 좁혀져 외국인 자금 이탈 우려가 줄었고 원달러 환율 상승 압박도 덜해졌다.
하지만 정부의 10·15 대책이 나왔음에도 집값 상승 기대심리가 좀처럼 꺾이지 않아 11월 금리 인하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경기 살리기라는 금리 인하 명분도 줄었다. 3분기 성장률이 한은의 기존 전망(1.1%)보다 높은 1.2%를 기록했고, 연간 1%대 성장률이 충분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따른 내년 성장률 반등 기대감도 감지된다. 이에 따라 한은의 금리인하는 내년으로 밀릴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대통령도 10월 금리 동결에 ‘옳은 결정’이라고 평가한 만큼 한은이 정부와 엇박자를 각오하고 추가 인하에 나서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황비웅 기자
2025-10-3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