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뷰 맛집, 삼국시대에도 무한 인기

유용하 기자
수정 2025-11-10 11:49
입력 2025-11-10 00:00
국학진흥원 웹진에서 ‘江…’ 다뤄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인류는 지구상에 처음 등장한 이후 지금까지 항상 물에 의지해 왔다. 집단 생활의 출발이 물과 깊은 연관이 있다. 인류 4대 문명은 모두 큰 강을 끼고 시작됐다. 한국인은 강이 잘 보이는 집에 살고 싶어 하고, 강 주변에서 라면과 ‘치맥’을 즐기며 여가를 보낸다. 우리에게 강은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일까.
한국국학진흥원에서 발행한 웹진 ‘담談’ 11월호는 우리 삶과 기억에서 강이 갖는 의미를 살펴봤다. 유현재 경상국립대 역사교육과 교수는 ‘강(江), 삶의 터전에서 문화의 매개로’라는 글을 통해 오랜 세월 흐르는 물이 만들어 낸 강변의 풍광은 사람들을 멈춰 세워 두고두고 보고 싶어 하게 했다고 말한다.
요즘 ‘한강 뷰’를 가진 아파트는 일반인이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비싸다. 이렇게 강변에 사람들이 모이기 시작한 것은 역사적으로도 오래됐다. 삼국시대와 고려시대 귀족이라든가 조선시대 권력이나 돈 좀 있다는 양반들이 한강변과 낙동강변에 별서(별장)를 세우고 즐겼다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지금의 한남동 근처 한강변에 자리잡은 제천정, 마포구에 있었던 희우정 사이의 경치는 굽이치는 물길과 주변 풍광 덕분에 당시 유명한 뱃길 유람 코스였다고 유 교수는 설명한다.
그런가 하면 김정철 한국국학진흥원 전임연구원은 ‘강물, 하늘과 사람이 만나는 곳’이라는 글에서 다양한 사료를 바탕으로 “강은 걱정과 비극의 장소이자, 흥겨움과 유람의 장소, 깨달음의 장소로 위치하면서 하늘과 사람을 만나게 해 줬다”고 언급한다. 강은 비가 많이 오면 홍수, 비가 적게 오면 가뭄을 상징하는 장소로 홍수와 가뭄은 사람들의 생활 공간을 사라지게 만들고 심할 경우에는 수많은 생명을 앗아갔다. 하지만 강은 슬픔과 비극의 장소만이 아니라 즐거움과 추억을 남기는 장소가 되기도 했고, 변화하는 자연과 사람을 통해 깨달음의 장소로 받아들여졌다.
편집위원장인 이규철 성신여대 사학과 교수는 “강은 항상 흐르면서 긴 시간 동안 인간의 기쁨과 슬픔, 행복과 고통 등 인간의 역사와 함께했다”고 말했다.
유용하 전문기자
2025-11-1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