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촌 때 겪은 시행착오, 청년 귀농 활동 밑거름” [삼성 청년희망터와 내일을 만드는 청년들]

민경석 기자
수정 2025-09-19 00:22
입력 2025-09-18 18:21
배동주 ‘농유피’ 대표

“연고 없는 곳에서 농업을 시작하는 청년들에게 가장 큰 장벽은 경험과 정보 부족입니다.”
비영리단체 ‘농유피’를 이끄는 배동주(42) 대표는 충남 공주에서 청년 농부들의 정착을 돕고 있다. 아버지를 도우며 농업을 경험한 그는 청년 후계농에 선정된 뒤 본격적인 영농의 길에 들어섰다. 2021년에는 고향 논산을 떠나 공주로 삶의 터전을 옮겼다.
배 대표는 “농지를 구하기 어려웠고 시설 문제로 마을 주민과 갈등을 겪기도 했다”며 “설비 공사를 직접 배워 해결할 만큼 쉽지 않은 과정이었다”고 회상했다.
스스로 겪은 시행착오가 그를 청년 귀농 지원 활동으로 이끌었다. 농유피는 멘토링과 지역 정보 제공, 판로 지원은 물론 친환경 제품 생산을 통한 공동 수익 창출 등을 주요 사업으로 삼고 있다.
삼성의 ‘청년희망터’ 3기(2024년) 참여는 새로운 도약의 발판이 됐다. 청년 농부들은 전문가와 함께 친환경 농산물로 아이스크림·소스·빵 등 제품을 개발해 공동 특허를 출원했고, 전국 박람회에 나서며 판로를 넓혔다.
그는 농유피를 마을기업으로 전환해 청년 정착과 공동체 활성화를 함께 이끌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배 대표는 “생산에서 가공, 관광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모델이 자리잡으면 농업은 청년에게 새로운 미래가 될 수 있다”면서 “공주의 청년 농부들이 그 길을 여는 개척자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공주 민경석 기자
2025-09-19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