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졸속 개편에 간판갈이”…본부는 ‘데이터처’ 지방은 ‘통계청’

곽진웅 기자
수정 2025-10-15 21:03
입력 2025-10-15 17:06
5개 지방청 명칭은 그대로 ‘통계청’ 유지
국가데이터처 “기존 통계청 인지도감안”
“3대 총조사 후 지방청 명칭 개편 예정”
천하람 “지방만 ‘통계청 시대’에 남겨둬”
“정부·여당의 졸속 개편 강행 따른 촌극”

정부조직 개편에 따라 통계청이 ‘국가데이터처’로 승격됐지만 지방은 여전히 ‘통계청’ 명칭을 유지하는 것으로 15일 파악됐다. 5년 주기 인구주택총조사 등을 앞두고 생소한 기관명에 따른 ‘응답률 감소’를 우려한 결정인데 정부조직 개편 강행에 따른 ‘간판 갈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천하람 개혁신당 의원실이 국가데이터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부조직법 개정으로 통계청은 국가데이터처로 명칭이 변경되고 격상했지만 경인, 동북, 호남, 동남, 충청지방통계청 등 5개 지방청은 그대로 통계청 명칭을 유지한다.
본부 외 소속기관은 조직개편에 따른 직제 개정 사항이 없어 지방통계청은 현재 명칭을 우선 유지하기로 행정안전부와 협의했다는 것이 국가데이터처의 설명이다. 지방청 명칭 개편은 인구주택총조사, 농림어업총조사 등 3대 총조사 후 검토·진행한다는 방침이다.
국가데이터처는 “5년 주기 대규모 조사를 앞두고 응답률이 감소하는 조사 환경과 기존 통계청 인지도 감안해 현행 유지하기로 결정했다”며 “향후 국가데이터처에 대한 대국민 인식 동향과 조사 환경 등 살펴 지방청 명칭 변경 등 직제 개정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1948년 공보처 통계국으로 출범한 이래 국가통계를 소관하는 중앙기관의 명칭에서 ‘통계’가 77년만에 빠졌지만 홈페이지에 따르면 국가데이터처의 공식 영문 명칭은 ‘Ministry of Data and Statistics’로 여전히 통계를 지칭하는 ‘Statistics’는 유지하고 있다.
천하람 의원은 “엄연한 정부의 한 조직을 개편하면서 본부의 이름만 바꾸고 지방청 이름은 그대로 두는 코미디가 어딨느냐”라며 “본청만 국가데이터처로 나아가고 지방은 통계청 시대에 남겨둔다면 지방 소멸이 문제인 우리나라에서 지방 관련 통계를 홀대한다는 인식을 낳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조직법 1조가 말하는 것처럼 정부 조직이라는 것은 단순한 이름의 문제가 아닌 국가행정사무의 체계적이고 능률적인 수행을 담보해야 한다”며 “정부와 여당이 최소한의 성실한 검토 없이 졸속으로 대규모 개편을 강행하다 보니 이런 촌극이 벌어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간판 갈이를 하더라도 국민 혼란을 최소화하려는 최소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곽진웅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