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연소 노벨평화상 말랄라 “대마초 피웠더니 총격의 고통이” [월드핫피플]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수정 2025-10-13 15:31
입력 2025-10-13 15:01
이미지 확대
최연소 노벨평화상 수상자 말랄라 유사프자이. 서울신문DB
최연소 노벨평화상 수상자 말랄라 유사프자이. 서울신문DB


17살의 나이로 최연소 노벨평화상 수상자가 됐던 말랄라 유사프자이(28)가 두번째 회고록 ‘내 길을 찾아’를 통해 상을 받은 이후 10년간의 세월을 솔직하게 공개했다.

대학에서 낙제점을 받아 여성 교육 운동가로 부끄러웠던 감정부터 교정에서 대마초를 피우고 머리에 총격을 받았던 고통과 상처가 생생하게 되살아난 일까지 가감 없이 드러냈다.

교육 운동가의 딸로 태어난 유사프자이는 2012년 파키스탄에서 통학버스를 타고 하교하던 중 탈레반으로부터 머리에 총을 맞았다.

영국에서 치료받고 살아난 유사프자이는 2014년 여성 교육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평화상을 공동 수상했다.

이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10대’가 된 유사프자이는 ‘나는 말랄라다’ 이후 12년 만에 두 번째 회고록을 펴냈고 오는 21일 출간 예정이다.

11살 때부터 여성 교육 운동가로 활동한 유사프자이는 여성 교육을 금지한 탈레반을 비롯한 이슬람 근본주의 세력으로부터 여전히 위협을 받고 있다.

이미지 확대
말랄라 유사프자이가 2021년 파키스탄 크리켓 감독 아세르 말리크와 결혼식을 올린 모습. 서울신문DB
말랄라 유사프자이가 2021년 파키스탄 크리켓 감독 아세르 말리크와 결혼식을 올린 모습. 서울신문DB


노벨상 이후 세계 지도자들의 환대를 받고, 보그 등의 잡지 표지 모델이 되었으며 200만부가 팔린 베스트셀러를 쓰고, 유료 강연을 하기 위해 청중들 앞에 섰다.

하지만 파키스탄에서는 그가 서방 강대국의 손아귀에 있고 심지어 정보자산이란 오래된 소문도 있다. 관련된 질문을 받을 때마다 유사프자이는 “파키스탄은 제 일부”라며 “파키스탄은 저를 싫어하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그는 자신에 대한 무슬림의 반감이 있을 수 있지만 그것은 정치적인 것이며 서구 사회에 대한 비판이라고 설명했다.

두 번째 회고록에는 영국 옥스퍼드대에 입학한 이후 첫 학기에 정치, 철학, 경제학 등에서 2.1이란 낙제점을 받고 “사기꾼이 된 기분”이 들었다고 털어놓았다.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교육 운동가는 결국 과외 교사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었고 부모에게 대외 활동을 줄여달라고 부탁해야만 했다.

이미지 확대
말랄라 유사프자이(왼쪽 두번째)가 2021년 파키스탄 크리켓 감독 아세르 말리크와 결혼식을 올리며 찍은 가족사진. 서울신문DB
말랄라 유사프자이(왼쪽 두번째)가 2021년 파키스탄 크리켓 감독 아세르 말리크와 결혼식을 올리며 찍은 가족사진. 서울신문DB


대학에서 친구들과 함께 대마초를 피우다가 총격 당시의 고통이 되살아나는 트라우마에 시달린 경험도 고스란히 책에 담겼다.

부모와 두 오빠, 그리고 파키스탄에 있는 친척과 가족 친구들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소녀 가장’으로서의 압박감도 숨기지 않았다. 한때 그는 미국과 캐나다로 유학을 간 2명의 가족 친구 학비도 댔다.

전 세계 소녀들의 교육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말랄라 기금’과 중요한 관계를 유지하고 유료 강연을 위해 해외를 여행하는 것에 대해서도 감당하기 어려웠다고 토로했다.

현재 탈레반이 통치하는 아프가니스탄의 여성은 교육받을 권리를 누리지 못하고 있으며, 유사프자이는 이들을 위해 할 수 있는 노력을 다하고 있다.

2021년 미군이 철수하고 아프가니스탄에 탈레반 통치가 시작되자 그는 세계 지도자들에게 도움을 호소했지만,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을 비롯한 대부분의 남성 지도자는 전화를 받지 않았다.

단 힐러리 클린턴 전 미 국무장관 등 여성 지도자들은 아프가니스탄 활동가들이 탈레반 치하를 빠져나오는 데 도움을 주었다.

유사프자이는 “총격에서 살아남았지만 진정한 용기는 바깥세상의 진짜 위협뿐 아니라, 내면의 위협과도 싸우는 것임을 깨달았다”고 노벨상 수상 이후의 여정을 돌아봤다.

윤창수 전문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