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요모조모-만원의 행복] 서초 토요벼룩시장
수정 2011-01-28 00:00
입력 2011-01-28 00:00
‘웃음꽃 흥정’ 가벼운 지갑 OK, 골동품 등 다양… 공연은 ‘덤’
지하철 2·4호선 사당역 11번 출구를 나오니 채 5분이 걸리지 않는다. 매서운 한파에도 길이 1㎞, 폭 10m의 사당천 복개도로 위에서 상인과 시민들의 가격 흥정이 한창이다. 상인들은 “아따, 사모님. 이건 밑지는 장사요.”라고 구수한 입담을 자랑하며 웃음꽃을 피웠다. 가격은 일반 시장과 비교할 수 없다.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물가라지만 여기서는 만원짜리 한장으로 옷 한벌 장만하기는 일도 아니다.
서초구 제공
바로 매주 토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문을 여는 ‘서초토요벼룩시장’의 진풍경이다. 프랑스 ‘생투앙 벼룩시장’처럼 외국에서나 볼 수 있는 것으로 여기기 쉽지만 서초토요벼룩시장은 이미 1998년 시작된,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장터다. 규모도 국내 최대다. 그만큼 판매물품도 다양하다. 과거에나 있었을 법한 휴대용 카세트나 필름 카메라, LP판을 비롯해 장식품, 의류 등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 정도다. 드문드문 보이는 골동품들은 장터 분위기를 더욱 운치 있게 만든다.
물건을 팔러 나온 이들을 구경하는 것만으로도 감칠맛이 난다. 스케이트를 들고 나온 아주머니, 책을 한가득 쌓아 놓고는 파는 것보다 읽는 데 정신이 팔린 할아버지, 해외 여행을 하면서 조금씩 모은 기념품을 처분하려는 대학생…. 특히 65세 이상 홀몸노인을 위한 지정좌석제 덕분에 유독 어르신들로 붐빈다. ‘외국인 판매부스’도 있다. 지역의 프랑스 마을인 서래마을 주민들은 물론 외국인학교나 대학 어학당 등 전국 곳곳에서 모여든 외국인 장사꾼(?)들도 많다.
더 특별한 것도 있다. 거리공연이다. 오전 10시 30분부터 1시간 동안 시장 한가운데 자리한 분수대 광장에서다. 비보이·사물놀이·밴드공연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실력을 뽐낸다. 전문가는 물론 개인이나 아마추어 동호회도 구에 신청하면 기회가 주어진다. 벼룩시장에 ‘경제’만 있는 게 아니라 ‘문화’도 있는 셈이다. 최근 추위 탓에 뜸하지만 날씨가 풀리는 3월쯤 본격적인 공연 한마당이 재개된다.
시장에서 판매를 원하면 매주 월요일 오전 10시~오후 6시 홈페이지(www.seocho.go.kr)에 신청하면 된다. 매주 목요일 오후 3시 공개적으로 추첨한다. 여성가족과 2155-6693.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1-01-28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