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구, 자살 방지 ‘게이트키퍼’ 양성
수정 2011-10-26 00:30
입력 2011-10-26 00:00
25일 동대문구정신보건센터 백종우 센터장은 “이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자살위험 신호인데 주위에서 충고보다는 관심을 갖고 대화하거나 전문의료기관에 도움을 청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는 주민 자살예방사업을 위해 지난 6월 보건복지부와 함께 청량리동에 희망충전소를 개설했다. 우울과 자살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 돕고, 우울증과 자살사고 자가검진을 할 수 있는 곳이다.
특히 청소년 자살을 막기 위해 교사나 복지기관, 일반인을 대상으로 게이트키퍼(Gate Keeper) 교육을 매월 1~2차례 진행한다.
게이트키퍼란 자살위험성이 높은 대상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응급상황 때 신속히 전문 서비스를 받도록 연결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청소년과 일상생활에서 밀접한 교사들을 게이트키퍼로 양성해 자살을 시도하거나 위험성이 있는 학생을 조기에 발견, 안전망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돕는다. 지금까지 정신과 전문의와 정신보건전문요원들이 교사, 복지기관, 일반인 등 1000여명을 대상으로 11차례 교육했다.
백 센터장은 “한국인 자살률은 10만명당 28.4명, 서울의 경우 24.6명(동대문구 28.5명)에 이른다.”며 “낭떠러지에 선 심정으로 혼자 죽음을 고민하는 사람들은 희망충전소를 찾아오길 바란다.”고 말했다. 희망충전소에선 전문가 9명이 전화·방문상담을 통해 1대1 사례관리를 하고 있다.
유덕열 동대문구청장은 “자살은 본인뿐 아니라 가족과 주변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안긴다.”며 “게이트키퍼 교육은 생명 존중의 실천을 뜻하기 때문에 자살 기초지식과 대응요령을 습득한 생명 지킴이를 늘려나가겠다.”고 말했다.
동대문구에선 2008년 86명, 2009년 115명, 2010년 113명이 자살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동삼기자 kangtong@seoul.co.kr
2011-10-26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