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가 온통 난리였는데…비상계엄 선포 다음날 골프 친 경찰들
박효준 기자
수정 2025-10-02 14:49
입력 2025-10-02 14:49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바로 다음 날 현직 경찰관 22명이 충남 아산에 있는 경찰 체력단련장(골프장)을 이용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계엄 여파가 채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치안을 책임져야 할 경찰이 골프장을 찾은 것은 ‘부적절한 처신’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2일 이해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경찰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 4일 22명의 경찰(총경 1명, 경정 1명, 경감 15명, 경위 4명, 경사 1명)이 아산 경찰 골프장을 이용했다. 해당 시설은 전·현직 경찰관 등을 대상으로 9홀 규모로 운영되고 있다.
서울경찰청은 비상계엄 직후인 지난해 12월 4일 새벽 1시를 기해 비상근무 체제인 ‘을호비상’ 발령을 검토하다 국회의 계엄 해제 의결로 보류했다. 이 의원은 “국가적 혼란이 채 정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야 할 경찰이 한가롭게 골프장을 찾아 골프를 치고 있었다는 사실이 충격적”이라고 비판했다.
더욱이 비상계엄 이후 조지호 경찰청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 등 경찰 수뇌부가 계엄에 적극 가담한 것으로 지목돼 강제 수사가 시작되는 등 조직 분위기가 혼란스러운 상황에서도 경찰들은 골프장을 찾았다. 조 청장과 김 전 청장이 긴급 체포됐던 지난해 12월 11일에는 29명, 두 사람이 구속된 12월 13일엔 40명이 아산 골프장을 이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아산 골프장은 통상 20일 전부터 예약을 받으며, 이용 10일 전에 예약 신청자 중 추첨을 통해 이용자를 확정한다. 경찰청 관계자는 “당시 시설을 이용했던 총경은 보직을 맡고 있지 않았고, 현재 퇴직한 상태”라면서 “계엄 선포 직후 체력단련장에 대한 휴장 조치를 했다가 다음 날 새벽 정상 운영을 결정했고 (윤 전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이나 제주항공 참사 등 국가 애도 기간에는 적절하게 휴장 조치했다”고 해명했다.
박효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