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최대 객사 나주 금성관, 140년 만의 해체 수리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서미애 기자
서미애 기자
수정 2025-11-19 14:55
입력 2025-11-19 14:55

나주시 “역사적 진정성 복원”…안전기원제 열고 본격 착수
1884년 중건이후 최초 대수술 전통기법.과학적 보강 병행

이미지 확대
나주시는 지난 18일 조선시대 객사 건축의 정수를 보여주는 국가문화유산 보물 금성관 일원에서 ‘보물 금성관 해체수리 안전기원제’를 거행하고, 140여 년만에 본격적인 해체 수리에 들어갔다. 나주시 제공
나주시는 지난 18일 조선시대 객사 건축의 정수를 보여주는 국가문화유산 보물 금성관 일원에서 ‘보물 금성관 해체수리 안전기원제’를 거행하고, 140여 년만에 본격적인 해체 수리에 들어갔다. 나주시 제공


조선시대 객사 건축의 정수를 보여주는 국가유산 보물 전남 나주 금성관이 약 140여 년 만에 본격적인 해체 수리에 돌입했다.

나주시는 지난 18일 금성관 일원에서 ‘보물 금성관 해체수리 안전기원제’를 거행하며 국가 유산 보존 사업의 시작을 공식적으로 알렸다. 금성관은 조선시대 객사 가운데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국가유산으로, 역사적 구조와 건축미를 인정받아 2019년 보물로 지정됐다.

이번 해체 수리는 1884년(고종 21년) 대대적인 중건 이후 약 140여 년 만에 추진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해체 수리의 최우선 목표는 건물의 진정성과 원형을 최대한 보존하는 것이다. 국가 수리 전문기관인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재단)이 전담하여 국가유산 보수의 선도적 기준을 제시할 계획이다.

금성관은 단순한 건축물을 넘어 한국사의 중요한 항일(抗日) 정신이 깃든 현장이다. 임진왜란 당시 김천일 선생의 근왕의병 출정식 장소였으며, 명성황후의 빈소가 차려져 항일 정신을 북돋았던 곳이다. 또한 단발령 항거와 나주학생독립운동의 현장으로도 쓰였다.

재단은 금성관의 본래 가치 회복에 중점을 두고, 부재(자재) 결구 기법 분석, 옛 부재인 적심재 기록화 조사, 기와와 벽체, 석재, 단청 등 전 재료 조사, 시대별 건축양식 연구 등을 심도 있게 진행한다. 특히, 보수 과정에서는 기존 부재를 최대한 재사용하고 전통 기법과 장인 기술을 우선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전통 기술만으로 안정성 확보가 어려운 구간은 과학적 조사에 근거한 현대식 보강 기법을 병행함으로써 전통과 과학의 조화를 이루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지반 조사를 기반으로 한 정밀 보수·보강 방안도 체계적으로 추진된다.

해체 과정에서 확인되는 모든 구조 흔적과 부재 정보는 상세히 기록화되어 향후 국가유산 복원사업의 표준자료로 활용될 방침이다.



윤병태 나주시장은 금성관이 일제강점기에 군청사로 사용되며 원형 훼손의 아픔을 겪었지만, 이번 수리를 통해 마침내 본래의 위용을 되찾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시장은 이 수리가 단순한 복원 작업을 넘어 나주 천 년 역사와 정신을 후대에 온전히 전하고 의향 나주의 정신과 기개를 다시 세우는 일임을 강조하며, 최고 품질의 보수사업을 완료하여 나주의 품격과 시민의 자긍심을 드높이겠다고 밝혔다. 나주시와 재단은 안전기원제를 시작으로 단계별 조사와 복원 작업을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광주 서미애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