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산토리니’ 따개비 마을… 잿더미 된 터전, 삶도 무너졌다
김형엽 기자
수정 2025-03-31 01:53
입력 2025-03-31 01:33
9명 숨진 영덕… 마을마다 초토화
바닷가 경사면 84채 중 78채 피해지반 지지목까지 불타 복구 어려워
타버린 어선·농기계에 생계는 막막

“모든 게 다 타 버린 유령 마을이 됐습니다. 마을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지 않을까 두려울 정도입니다.”
30일 낮 12시 30분쯤 경북 영덕군 영덕읍 석리 석동방파제 인근 따개비 마을. 화마에 마을 전체가 흉물스럽게 변해 버린 재해의 현장 너머 보이는 코발트색 바다가 야속할 정도로 푸르다. 이곳은 바닷가 경사면을 따라 형성된 마을 모습이 마치 바위에 붙은 따개비처럼 보여 ‘따개비 마을’로 유명했다. ‘한국의 산토리니’라고 불리던 곳이지만 지난 25일 의성 산불이 매서운 바람을 타고 동진하면서 마을 전체가 검은 폐허가 됐다.
이미상(64) 석리 이장은 “주택 84채 중 78채가 탔으니 전부 탄 셈”이라면서 “오랜 세월에 걸쳐 함께 가꾼 마을이 한순간에 잿더미로 변해 주민들 모두 허망한 마음뿐”이라고 했다. 산을 넘나드는 불덩이가 마을 곳곳 대나무에 옮겨붙어 삽시간에 번졌고 미처 대피하지 못한 이곳 주민 1명은 불에 타 숨진 채 발견됐다.
내륙 의성에서 시작된 불이 해안가 마을까지 확산되면서 9명이 사망해 영덕은 단일 지역 중 가장 큰 인명 피해를 보았다. 특히 석리 인근 매정리에서는 부부가 화재로 함께 숨졌고 민가를 비롯해 양식장 6곳, 어선 19척이 불에 타는 등 일대가 초토화됐다.
마을 곳곳에는 폭격을 맞은 듯 깨진 유리와 건축자재가 나뒹굴고 있으며 안전을 위해 설치한 난간도 곳곳이 불에 타 접근조차 힘든 상태였다. 따개비 마을은 복구조차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경사지 마을의 지반을 지탱해 주던 대나무가 모조리 타 버려 지반 공사부터 다시 해야 할 상황이다. 이 마을에서 3대를 살았다는 한 마을 주민은 “급경사지에 집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어 길이 좁고, 복구 작업을 시작해도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면서 “어디부터 손을 대야 할지 엄두가 안 날 정도”라고 말했다.사정은 인근 마을도 마찬가지다. 석리에서 약 7㎞ 떨어진 매정리에 사는 김한선(72)씨는 매일 불에 탄 집을 살펴보러 오지만 다시 임시 대피소로 돌아가기 일쑤다. 김씨는 “집도 집이지만 농기계, 각종 자재가 모조리 불에 타 올해 농사는 끝났다고 봐야 한다”면서 “피해 조사가 하루빨리 이뤄져야 할 텐데 그게 언제가 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지품면 신안리에서 만난 차영태(81)씨는 “50년 전에 최고급 자재를 직접 골라 지은 집이 무너지니 마음도 폭삭 무너졌다”며 “보험이란 보험은 다 들어 봤는데 하필 화재 보험만 안 들었다. 보상이 나온다 한들 제대로 된 집이나 지을 수 있을까 걱정”이라고 하소연했다.
글·사진 영덕 김형엽 기자
2025-03-31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