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률의 정원일기] 가을에는 나무도 외로움을 탄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25-10-28 00:49
입력 2025-10-28 00:20
이미지 확대
일러스트 고재하
일러스트 고재하


식물에게도 감정이 있다. 거짓말이 아니다. 정원이 있는 집에 살면 알게 된다. 느낌이 온다. 여름날 며칠 집을 비웠다가 돌아오면 깜짝 놀란다. 잔디가 노랗게 말라 죽어 가고 있다. 물을 흠뻑 주고 한두 시간 뒤 나갔다 돌아오면 또 한 번 더 놀라게 된다. 죽어 가던 잔디가 다시 새록새록 초록빛을 띠며 반긴다. 식물은 이렇게 인간에게 늘 반응한다.

동물 못지않게 식물도 인간에게 기쁨을 준다. 키우고 가꿔 보면 즐거움은 예상을 넘는다. 위로, 요즘 말로 힐링이 된다. 이른 새벽, 정원에 나가면 갓 피어난 가냘픈 구절초가 반긴다. 가슴이 짠해진다. 대자연의 위대한 힘이다. ‘식물총장’, ‘식물장관’이라는 비유도 있다. 이는 식물에 대한 모욕이다. 그냥 가만히 있는 게 아니다. 움직일 수 없기에 오히려 살아남기 위해 동물 못지않게 격렬한 투쟁을 한다.

식물과 대화하기 가장 좋은 계절은 가을이다. 봄, 여름에는 한껏 멋을 내며 스스로 발광하는 형국, 그저 보기만 하면 그만이다. 그러나 가을이 되면 얘기가 달라진다. 하나둘 옷을 벗고 찬바람에 내둘리게 된다. 가지는 말라 가고 꽃은 빛을 잃어 간다. 사람들의 눈길도 뜸해진다. 이런 계절엔 나무도 외로움을 탄다. 사람의 손길을 가장 그리워하는 때다.

가을은 인간이 나무를 돌봐야 하는 계절이다. 요 며칠 이른 추위에 떨고 있는 정원의 나무와 꽃들을 비닐로 감싸 주었다. 나무 밑동을 짚으로 두른 뒤 나무 전체에 대형 비닐봉투를 덮어씌우면 된다. 작약, 목단, 수국, 동백 등등이 주인공이다. 특히 날카로운 가시 때문에 장미에 비닐을 덮어씌우는 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작업을 하다가 가시에 찔려 손마디에서 붉은 피가 배어나온다. 애고, 애고, 바이런도 라이너 마리아 릴케도 장미 가시에 찔려 그 휴유증으로 죽었다던데….

그러나 꽃과 나무들에게 오리털 외투를 입혔다고 생각하니 한결 기분이 좋다. 이제 겨울이 와도 두렵지 않다. 오늘 아침 정원에 나가니 누군가 내게 인사하는 것 같다. 꽃과 나무들이다. “주인님, 비닐 외투 감사해요.” “별말씀을. 저도 덕분에 지난 봄, 여름 행복했습니다.” 꽃, 나무와 주고받은 짧은 대화다. 식물도 말을 한다.

김동률 서강대 교수

이미지 확대
김동률 서강대 교수
김동률 서강대 교수
2025-10-28 3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