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염전 노예
이종락 기자
수정 2025-04-08 00:46
입력 2025-04-07 23:52

인류는 정착 생활을 하면서 식생활이 주로 곡류와 채소 중심으로 바뀌어 소금 섭취가 필요하게 됐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에 이미 소금을 생산했지만 일제강점기부터 천일염을 만들기 시작했다. 천일염은 바닷물을 햇볕과 풍력을 이용해 농축시켜 만든 소금이다.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인 서해안에서 만들어지는 천일염은 칼슘, 칼륨, 마그네슘 등 미네랄 함유량이 풍부해 세계적으로도 인정받는 명품이다.
이런 천일염이 2014년 ‘염전 노예’라는 사건이 터져 명품 이미지가 상당히 추락했다. 전남 신안군 신의도에 있는 한 염전에서 지적장애인에게 직업을 소개해 준다며 약취 및 유괴, 감금한 뒤 강제 노동을 시킨 것이 드러나 엄청난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 피해자들은 수년간 하루 5시간도 자지 못하며 소금 생산 등 온갖 노동에 동원되고도 돈 한 푼 받지 못하고 노예처럼 일했다. 사법당국의 수사가 이어져 염전 임차인은 징역 5년을 선고받았고, 정부와 전남도는 여러 대책을 내놓으면서 사건은 일단락된 듯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미국 정부의 문제제기로 통상 이슈로 다시 떠올랐다. 미국이 국내 최대 규모 단일 염전인 신안의 태평염전의 소금 수입을 지난 2일부터 차단한 것이다. 태평염전은 국내 천일염 생산의 약 6%를 차지한다.
미 관세국경보호청(CBP)은 최근 “강제노동 사용을 합리적으로 보여 주는 정보를 토대로 태평염전에 대한 인도보류명령을 발동했다”고 밝혔다. 주한 미 대사관은 2022년 이 사건을 미 국무부에 보고한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지금까지 강제노동 등의 사유로 미국이 수입 금지 조치한 나라는 중국, 소말리아, 짐바브웨 등 12개국이다. 그 명단에 우리나라가 들어간 것이며 이런 불미스런 이유로 국내 기업이 수출 제재를 받은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정부와 전남도가 태평염전에 별다른 제재를 가하지 않고 솜방망이 처벌을 한 탓에 결국 국제적 망신살이 뻗친 셈이다.
이종락 상임고문
2025-04-08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