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의•협치 허울뿐… 시체를 연료 삼는 ‘증오의 민주주의’

오경진 기자
수정 2025-10-17 00:46
입력 2025-10-17 00:46
죽음정치
아쉴 음벰베 지음/김은주·강서진 옮김
동녘/324쪽/2만 5000원

적(敵)의 절멸(絶滅)만이 오늘날 민주주의의 궁극적인 꿈이다. 대의(代議)나 협치(協治)와 같이 한때 민주주의의 이상이라고 여겨졌던 것은 사실 이 꿈을 감추기 위한 허울에 불과하다.
현대의 정치를 작동시키는 힘은 증오 그리고 그것의 결과인 ‘죽음’이다. 죽음은 결코 은유적인 표현이 아니다. 실존하고 있는 우리 몸의 소멸을 말한다. 지금 세계의 정치는 시체(屍體·necro)를 연료로 삼고 있다.
카메룬 출신 철학자 아쉴 음벰베(68)의 ‘죽음정치’는 탈식민주의 비평의 기념비적 저작이다.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지닌 아프리카 지성 음벰베의 저서가 한국어로 옮겨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국내 정치철학, 비교문학 연구자들에게 깊은 영감을 줬던 음벰베의 통찰을 이제 일반 독자들도 음미할 수 있게 됐다. 2016년 출간된 책의 원제는 ‘증오의 정치에 관하여’다. 총 4장으로 구성됐지만 음벰베의 요청에 따라 원서에는 없었던 논문 ‘죽음정치’(Necropolitics)를 한국어판에 삽입했다.
시(詩)처럼 아름다우면서도 정교하고 탄탄한 음벰베의 문장은 정확히 서구 철학의 맹점을 타격하고 있다. 마치 금과옥조처럼 떠받들어지는 민주주의는 서구 근대의 발명품이다.
대화와 타협의 예술인 것처럼 포장되는 민주주의가 실은 강력한 적대(敵對) 위에 세워져 있음을 음벰베는 날카롭게 폭로한다. 음벰베는 현대의 민주주의가 단순히 나와 타자를 구분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타자는 적이 되고, 우리는 그 적을 완전히 멸종시키고자 한다. 음벰베는 이렇게 정리한다. “오늘날의 정치적 질서는 거의 모든 곳에서 죽음을 위한 조직이라는 형태로 재편성된다.”(15쪽)
프랑스어로 글을 쓴 아프리카 철학자의 성찰이지만 왜인지 오늘날 한국의 모습을 비판하고 있는 것 같아 소름이 끼칠 정도다. ‘내란’과 ‘청산’이라는 극단의 ‘예외상태’가 반복되고 있는 한국의 정치 상황에도 생각할 거리를 던진다. 앞선 세대의 탈식민주의 사상가 프란츠 파농을 비롯해 지크문트 프로이트, 미셸 푸코 등의 사유를 통과한다. 주권과 예외상태, 적대 등의 개념으로 민주주의를 비판하는 지점에서는 책에 두 차례 정도 언급되는 독일 법철학자 카를 슈미트가 연상되기도 한다. 결론에서 음벰베는 ‘통행자의 윤리’를 강조한다.
“세계를 횡단하며 우리가 태어난 곳이 지니는 우연성과 그것이 담고 있는 자의성과 제약의 무게를 가늠하는 것… 우리가 나그네라는 지위를 받아들이는 법을 배우는 것.”(298쪽)
오경진 기자
2025-10-17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