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모키어 “저출산이 한국 침체 초래… 아이 많이 낳아야”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최영권 기자
최영권 기자
수정 2025-10-15 01:00
입력 2025-10-14 17:59

경제학상 수상 기자회견서 밝혀
남ㆍ북한 비교 수업 단골 소재로
해외 기술인력 성장동력 삼아야

이미지 확대
올해 노벨경제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된 조엘 모키어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가 13일(현지시간) 일리노이주 노스웨스턴대에서 열린 수상 기념 기자회견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에번스턴 AP 연합뉴스
올해 노벨경제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된 조엘 모키어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가 13일(현지시간) 일리노이주 노스웨스턴대에서 열린 수상 기념 기자회견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에번스턴 AP 연합뉴스


“지구상에서 출산율이 가장 낮은 나라 중 하나인 한국은 무엇보다 아이를 많이 낳아야 합니다. 출산율 문제는 한국 (경제)의 침체를 일으키는 거의 유일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올해 노벨 경제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된 조엘 모키어(79)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는 13일(현지시간) 일리노이주 노스웨스턴대에서 열린 수상 기념 기자회견에서 ‘한국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방법’을 묻는 한국 언론의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그는 또 한국 고령화 해법으로 ‘외부 아이디어를 받아들이는 개방성’을 제시하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혁신의 유입이 제한되지 않도록 열려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모키어 교수는 “혁신은 일반적으로 젊은 세대에서 더 활발히 일어나는 경향이 있어 고령화가 전반적으로 혁신에 불리할 수 있다”면서도 “한 나라의 모든 아이디어가 반드시 자국 내에서만 나오는 것은 아니다. 아이디어는 국경을 넘어 흐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이 젊은 해외 기술 인력을 적극 유치해 성장 동력을 높이라는 조언으로 해석된다. 그는 한국의 강점으로 “국경을 개방해 세계에서 검증된 기술을 적극적으로 흡수하는 점”을 꼽기도 했다.

모키어 교수는 또 “한국과 같은 나라들에 하고 싶은 조언은 언론의 자유, 자유롭게 선거를 치를 수 있는 자유도 유지하라는 것”이라고 짚었다. 그는 “뉴스를 보면 알겠지만 항상 최고의 인물이 정치인이 되는 건 아니었고 나름의 어려움을 겪었다”면서 “그럼에도 한국은 성공적인 민주주의를 이뤘다”고 평가했다.

또 미국과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을 겨냥해 “한국은 바로 옆에 아주 큰 나라와 맞닿아 있어 (지정학적으로) 복잡한 위치에 있다”면서 “한국은 미국의 지원 덕에 가난에서 벗어났고 향후에도 계속 그렇게 해 나갈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이 자리에 있는 사람 중 한국산 자동차를 타는 사람이 분명히 있을 텐데 기술력이 나쁘다고 느끼지 않는다”면서 “한국의 경제적 미래에 대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지구상에 있는 많은 나라가 한국과 자리를 바꾸고 싶어 한다”고 전했다.

모키어 교수는 한국의 경제 성장을 ‘기적’이라고 평가하면서 비교 대상으로 북한을 들었다. 그는 “수업 시간에 국가 제도의 중요성을 소개할 때 거의 빠짐없이 한국과 북한을 극단적인 대조 사례로 소개한다”면서 “합리적 제도를 갖춘 나라는 형편없는 제도를 가진 나라보다 훨씬 잘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한국은 1950년대 1인당 소득이 매우 낮았지만 지금은 세계에서 가장 잘사는 나라 중 하나가 됐다”면서 “진짜 걱정해야 하는 나라는 한국이 아닌 북한이나 미얀마 같은 국가”라고 덧붙였다.

최영권 기자
2025-10-1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