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판’에서 뛰노는 ‘소리’…AI로 배우고 계승하는 전통 국악

박상연 기자
수정 2025-11-05 17:50
입력 2025-11-05 17:48
인공지능 판소리 분석·축척 앱 개발
전통 음악 더 멀리, 오래 전할 도구
“구두 전승·학습 장벽 한계 보완해”
#. 인공지능(AI) 판소리 배우기 애플리케이션(앱)을 켜면 배우고 싶은 곡과 명창을 고를 수 있다. 성춘향과 이몽룡의 행복한 순간을 담은 ‘사랑가’를 선택하니, “즐거운 사랑의 감정을 기억하며 불러야 한다”는 설명이 나온다. 화면 영상 속 명창이 직접 “이리 오너라”를 선창하면 화면 하단에 떠는 음이나 꺾는 선율에 따라 선 모양의 파형이 생긴다. 이를 보고 이용자가 따라 부르면 AI가 실시간으로 분석해 점수를 매겨준다.
‘판소리고’라는 이름의 이 앱은 AI가 전통 음악을 분석하고 데이터로 축적해 누구나 손쉽게 판소리를 학습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한다. 5일 포럼에서 열린 판’ 소리콘서트 ‘오래된 미래:국악, AI와 만나다’에 참여한 개발 기업 ‘율랩’의 이나영 대표는 “전통은 지켜야 할 뿌리이고, AI는 더 멀리 오래 전할 수 있는 도구”라고 말했다.
사용자는 앱을 통해 발성 및 호흡법, 입 모양부터 시작해 소리꾼마다 개성이 드러나는 ‘시김새’(흘러내리거나 떠는 소리 등 꾸밈음)까지 직접 듣고 훈련할 수 있다. AI 음성 분석 기술을 활용해 판소리 데이터를 폭넓게 축적한 결과다.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던 전통 음악 판소리가 AI 기술을 만나 학습과 계승의 새로운 장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왕기철 명창은 “판소리는 악보 없이 구두로 전승됐는데 기록을 남긴다는 점도 기대되고, 1대 1 도제식 교육으로 지역·시간 등에 따른 환경적 제약도 극복할 수 있어 기대가 크다”고 했다. 이 대표는 “판소리 등 국악을 세계 어디서나 쉽게 즐기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 첫걸음으로써, 새 K-콘텐츠 시장을 열어가겠다”고 밝혔다.
박상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