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 밀려난 부산… 산업도시 명성 잃은 대구·창원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정철욱 기자
수정 2025-09-05 06:11
입력 2025-09-04 18:20

인구감소에 위상 잃은 지방 대도시

부산, GRDP·인구 규모 모두 감소
100만 인구 창원, 10여년째 내리막
대구, 산업 쇠퇴로 청년 인구 유출
이미지 확대
부산시청 전경. 서울신문DB
부산시청 전경. 서울신문DB


‘수도권 쏠림’이 가속화되면서 지방 대도시들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인천은 경제·인구 지표에서 부산을 따라잡으며 급부상한 반면 대구·경남 창원은 산업 기반 약화와 청년 유출로 쇠락의 길을 걷고 있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지역내총생산(GRDP) 자료에 따르면 인천의 GRDP는 116조 8627억원으로 부산(114조 1654억원)을 앞질렀다. GRDP는 일정 지역 내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 가치를 합산한 지표로, 지역 경제 규모를 비교하는 주요 기준이다. 인천이 부산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불과 2015년까지만 해도 부산의 GRDP(88조 7489억원)는 인천(81조 8053억원)보다 7조원 가까이 많았지만 이후 인천은 42.9% 성장한 반면 부산은 28.6% 증가에 그쳤다. 경제 성장률에서 이미 격차가 벌어지고 있던 셈이다.

인구 역시 인천은 부산을 빠르게 추격 중이다. 지난해 기준으로는 부산 인구가 326만 6000명, 인천은 302만 1000명으로 아직은 부산이 더 많다. 하지만 지난 10년간 부산은 인구가 25만 2000명 줄어든 반면 인천은 11만 8000명이 늘었다.

고령화율도 부산이 24.7%로 전국 주요 도시 중 가장 높았던 반면 인천은 18.4%로 울산, 광주에 이어 낮은 편에 속했다. 그 결과 경제활동인구(15세 이상 취업자+실업자)는 인천이 176만 5000명으로 부산(174만 8000명)을 추월했다. 청년층(19~34세) 인구도 인천(59만 8967명)이 부산(58만 7668명)을 앞질렀다.

수도권과의 격차는 창원, 대구 등 비수도권 산업도시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제조업 중심의 도시였던 창원은 청년층 유출이 전국에서 가장 심한 기초자치단체로 전락했다.

올해 8월 기준 창원의 주민등록인구는 99만 3530명으로, 통합 직후인 2010년 108만 1808명에서 크게 줄었다. 외국인을 포함하면 인구 100만명은 유지되고 있으나 ‘비수도권 유일 100만 기초지자체’라는 타이틀은 위태로운 상황이다. 특히 최근 10년간 창원에서 빠져나간 청년층(19~39세)은 4만 5854명으로 전국 기초지자체 중 최다였다. 고용 감소와 제조업 쇠퇴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대구 역시 과거 ‘섬유·기계 산업’의 도시라는 명성은 퇴색했다. 2003년 254만명까지 치솟았던 인구가 감소세를 지속해 올해 상반기에는 20대 청년 3390명이 빠져나갔다. 달서구와 수성구 등 핵심 지역에서만 10년간 각각 3만 9000명, 3만 6000명의 청년이 순유출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창원, 대구 등 제조업 도시들이 산업기반 붕괴와 함께 청년 유출 위기를 겪고 있다”며 “저탄소·디지털 전환을 통한 제조업의 생존과 고용 유지가 청년 유입의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부산 정철욱·창원 이창언·대구 민경석 기자
2025-09-05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