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1인당 연간 8회 방사선 검사…피폭량 세계 평균 5배

이현정 기자
수정 2025-08-26 13:45
입력 2025-08-26 13:45
2020년 이후 CT 등 방사선 검사 매년 증가
방사선 피폭 늘수록 암 발생 위험 커져
100mSv 노출자 4만명, 50mSv는 17만명

질병관리청
지난해 우리 국민이 받은 의료방사선 검사가 1인당 평균 8건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컴퓨터단층촬영(CT) 등 고선량 검사가 전체 방사선 피폭의 3분의 2를 차지해, 한국인의 연간 방사선 노출량은 세계 평균의 5배 수준에 달했다. 질병관리청은 “방사선 피폭이 늘수록 암 발생 위험이 커진다”며 불필요한 검사를 자제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질병관리청이 26일 발표한 ‘2024년 국민 의료방사선 이용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의료기관에서 시행된 방사선 검사는 총 4억 1270만 건으로 국민 1인당 평균 8회였다. 2020년(5.9회) 이후 매년 증가해 최근 5년간 연평균 7.6% 늘었다.
국민의 연간 방사선 피폭량은 3.13밀리시버트(mSv)로, 세계 평균(0.57mSv)의 5배 수준이다. 검사 건수는 일반촬영이 3억 2100만 건(77.9%)으로 가장 많았지만, 피폭선량은 CT가 10만 8552맨·시버트(man·Sv, 1인당 2.1mSv)로 전체의 67.0%를 차지했다. 질병청은 “CT는 검사 비중은 3.8%에 불과하지만 피폭선량이 가장 높아 적정하게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간 피폭량 3.13mSv는 자연방사선(3.0mSv)보다 소폭 높지만, 반복 노출 시 암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다.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는 1~10mSv 노출에서도 암 발생 위험이 0.0001~0.001% 증가한다고 보고했다. 근로복지공단도 2023년 위암으로 숨진 항공 승무원의 사례에서 연간 6mSv 이하의 저량 방사선 노출도 암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산재를 인정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의료방사선 촬영으로 연간 100mSv에 노출된 국민은 4만여 명, 50mSv 노출자는 17만6000여 명에 이른다. 100mSv 노출 시 암 발생 위험은 0.5% 증가하며, 50mSv는 방사선 종사자도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건강진단을 받아야 하는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서울(21.9%)과 경기(25.2%)에서 전체 촬영 건수의 절반 가까이가 집중됐다. 종합병원은 전체 검사 건수의 25.5%를 담당했지만, 피폭선량 비중은 66.6%에 달해 대형병원에서의 CT 쏠림이 뚜렷했다.
일부 병원은 고가 장비를 놀리지 않기 위해 검사를 권유하지만, 환자들은 자신이 얼마나 위험한 상황에 놓였는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다. 보건복지부가 지난달 발표한 ‘OECD 보건 통계 2025’에 따르면 한국의 CT 이용량은 인구 1000명당 333.5건으로, OECD 평균(177.9건)의 두 배에 달했다. CT 이용량은 연평균 8.3%, MRI는 13.2%씩 늘어 ‘과잉 공급이 과잉 이용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해 의료방사선 검사는 꼭 필요한 경우에만 시행해야 한다”며 “불필요한 피폭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현정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