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작년과 비슷했던 수능…“최상위권·상위권 변별력 확보”

김지예 기자
수정 2025-11-13 17:36
입력 2025-11-13 17:36
국어 독서 난도 오르고 선택과목 내려
수학은 상위권·최상위권 변별력 높여
13일 전국 1310개 시험장에서 치러진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 없이 대체로 평이했던 지난해 수능과 비슷한 난이도로 출제된 것으로 분석됐다. 국어·수학영역은 ‘물수능’이나 ‘불수능’을 피하면서도 변별력을 확보했다는 평가다.
김창원(경인교대 교수) 수능 출제위원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올 수능은 고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적정 난이도 문항을 고르게 출제했다”며 “작년 출제 기조를 이어 선택과목 표준점수 차이가 크게 나지 않도록 했다”고 밝혔다. 2024학년도 수능부터 이어진 ‘킬러문항’ 배제 기조도 유지됐다. EBS 수능 교재 연계율은 문항 수 기준 50% 수준에서 출제됐다.
국어 영역은 지난해 수능과 비슷한 수준으로 분석됐다. 한병훈(충남 덕산고 교사) EBS 국어 대표강사는 “독서의 난도는 오르고 선택과목의 난도는 낮아져서 전체적으로 적정 난이도를 유지했다”고 말했다. 수학도 지난해와 비슷했지만 상위권과 최상위권 변별을 강화하기 위해 고난도 문항을 배치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날 수능에는 전년도보다 3만 1504명 늘어난 총 55만 4174명이 지원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오는 17일까지 이의신청을 받고 25일 정답을 확정한 뒤 다음달 5일 성적 통지표를 배부한다.
세종 김지예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