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학교·과학고 의대 진학 3년째 하락? N수생은 빠졌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수정 2025-08-12 16:04
입력 2025-08-12 16:04

장학금 환수 등 의대 제재 여파
검정고시 등 ‘우회’ 의대행 많아

이미지 확대
4일 서울 소재 의과대학에서 의대생들이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4일 서울 소재 의과대학에서 의대생들이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의대 열풍이 뜨거운 가운데 영재학교와 과학고 졸업생의 대학 의약학계열 진학률이 최근 2~3년간 하락하며 1~2%대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장학금 환수 등 불이익 조치의 여파로 풀이된다. 하지만 영재학교·과학고생들이 자퇴나 ‘N수’를 통해 의대에 가는 경우가 많아, 실제 진학자는 더 많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부는 12일 2020~2025학년도 6년간 영재학교·과학고 의약학 계열 진학률을 분석한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2025학년도 대입에서 전국 8개 영재학교 졸업생의 의약학 계열 진학률은 2.5%로 2023년 이후 2년 연속, 전국 20개 과학고의 진학률은 1.7%로 2022년 이후 3년 연속 각각 하락했다.

이공계 분야 우수 인재 양성을 위해 설립된 영재학교와 과학고 졸업생의 의약학계열 진학률은 2020년 이후 상승세를 보이다가 최근 하락세로 돌아섰다. 2020학년도 대입에서 영재학교 졸업생의 의약학계열 진학률은 6.9%였으나 2021년 7.5%, 2022년 8.8%, 2023년 10.1%까지 상승했다. 이후 2024학년도 6.9%로 내려간 뒤 올해 2.5%로 2년 연속 하락했다.

과학고도 졸업생의 의약학 계열 진학률은 2020학년도 1.5%에서 2021년 1.8%, 2022년 2.9%로 상승했다가 2023년 2.2%로 꺾인 뒤 2024년(2.1%)과 올해(1.7%)까지 3년 연속 하락했다.

의약학계열 지원율 역시 영재학교는 2023학년도 20.0%에 달했으나 2024년 13.6%, 올해 5.4%로 2년 연속 떨어졌다. 과학고는 2022년 15.4%에서 올해 5.8%로 3년 연속 내려갔다.

교육부는 “2021년 4월 의약학 계열 진학 제재 방안을 마련한 후 이공계 진로·진학 지도를 지속해서 강화한 결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제재에 따르면 영재학교 졸업생이 의약학 계열에 진학할 경우 장학금·교육비를 반납해야 한다. 또 영재학교 진학 후 수시모집으로 의대에 지원하려면 내신 산출 방식을 일반고 적용 기준으로 재산정해 불리한 내신을 적용받게 된다. 과학고도 영재학교의 진학 제재 방안을 적용해 자율적으로 제재 방안을 운영하고 있다.

다만 이번 조사에서는 재수생 등 ‘N수생’은 빠져있어 불완전한 통계라는 지적이 나온다. 영재학교·과학고 학생들은 자퇴 후 검정고시를 보거나, 졸업 후 대학에 간 뒤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준비해 의대로 가는 경우가 많다. 과학고 재학생들의 학업 중단과 전출 규모가 2022년 57명, 2023년 64명, 2024년 69명 등 매년 늘고 있는 배경에 의대 진학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종로학원은 “과학고와 영재학교는 커리큘럼의 50~70%가 수학·과학에 편성돼 수능 준비가 불가능하다”며 “이들은 조기 졸업 혹은 졸업 후 카이스트 등에 진학한 뒤 의대에 진학하는 경로를 밟는다”고 했다.

김지예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