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2025 아이디어 페스티벌’…미래 모빌리티 새로운 가능성 탐색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수정 2025-10-22 17:20
입력 2025-10-22 17:20

2025 아이디어 페스티벌 본선 경연
車 내부 수납공간 잠금 시스템 등 시연
‘액티브 옴니 내비게이션 트랜스포터’ 대상
2021년 수상작 실제 양산차에 적용도

이미지 확대
현대자동차·기아가  22일 경기 화성시 남양연구소에서 ‘2025 아이디어 페스티벌’ 본선 경연을 진행한 가운데 대상을 차지한 앤트랩팀이 ‘액티브 옴니 내비게이션 트랜스포터’ 시연을 펼치고 있다.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자동차·기아가 22일 경기 화성시 남양연구소에서 ‘2025 아이디어 페스티벌’ 본선 경연을 진행한 가운데 대상을 차지한 앤트랩팀이 ‘액티브 옴니 내비게이션 트랜스포터’ 시연을 펼치고 있다.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자동차·기아는 22일 경기 화성시 남양연구소에서 임직원들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실물까지 제작해 발표하는 ‘2025 아이디어 페스티벌’ 본선 경연을 진행했다.

올해로 16회를 맞은 아이디어 페스티벌은 현대차·기아 R&D본부·AVP본부가 2010년부터 매년 개최해 온 전통 있는 행사로 임직원들의 연구개발 의지를 북돋우고, 창의적인 연구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기여해왔다.

2025 아이디어 페스티벌은 현대차·기아가 전 세계 무대에서 쌓은 입지를 지속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해 ‘글로벌 챌린저’를 주제로 개최됐다. 이를 위해 지난 4월부터 사내 임직원을 대상으로 미래 모빌리티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줄 혁신 아이디어를 공모했다. 현대차·기아는 사전심사를 거쳐 본선에 오른 6개 팀에게 제작비와 실물 제작 공간 등을 지원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팀은 약 7개월 동안 자기 아이디어를 실물로 구현해 낼 수 있었다.

이날 본선에서는 6팀이 각각 발표와 시연을 진행하며 아이디어로 선보였다. 차량 내 수납공간을 잠글 수 있는 ‘디지 로그 락 시스템’과 차량 번호판에 기반해 차주에게 연락할 수 있는 서비스 ‘스냅플레이트’ 등 실생활에 접목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돋보였다. 예컨대 디지 로그 락 시스템은 차 안 수납공간을 여닫을 때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의 숫자패드를 손가락으로 누를 필요 없이 운전석 오른쪽 옆에 손이 닿는 위치의 조작계만 다뤄주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했다.

또, 트레일러 견인 성능을 향상해주는 시스템 ‘트레일러 토잉 프리 컨디셔닝’, 안전벨트를 활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디벨트’, 조향 없이 전 방향 주행이 가능한 모빌리티 ‘액티브 옴니 내비게이션 트랜스포터’, 발달 장애인의 불안 증세 해소를 위한 탈부착 패드 ’S.B.S’ 등 아이디어도 경쟁에 올랐다.

대상은 ‘액티브 옴니 내비게이션 트랜스포터’를 개발한 앤트랩(ANT Lab) 팀이 차지했다. 시연을 마친 뒤 발명품은 상하좌우로 움직이며 참여자들에게 과자를 배달하기도 했다.

역대 수상자와 연구진으로 구성된 임직원 평가단은 구현성, 독창성, 기술 적합성, 고객 지향성 등을 기준으로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대상 수상팀은 상금 1000만원과 2026 CES 견학 기회가, 최우수상팀에는 500만원과 싱가포르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 탐방 기회가 제공된다.

한편 아이디어 페스티벌에서 탄생한 아이디어가 실제 양산 차에 적용되는 사례도 늘고 있다. 2021년 최우수상 수상작 ‘다기능 콘솔’은 현재 싼타페의 ‘양방향 멀티 콘솔’로 상용화됐으며, 2023년 대상 수상작 ‘데이지(Day-Easy)’는 시각장애인의 버스 탑승을 돕는 기술로 LG유플러스와 협업해 실증시험이 진행 중이다.

하종훈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