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나무의 잠
오일만 기자
수정 2025-09-25 00:35
입력 2025-09-25 00:06

저녁 숲길에 켜지는 가로등은 사람에게는 안전한 불빛이지만, 나무에게는 잠을 깨우는 빛이다. 생체 시계가 흐트러져 잎은 제때 지지 못하고 때아닌 새순을 틔우기도 한다. 계절의 리듬이 깨지고, 나무는 더 깊은 상처를 입는다.
밭농사도 다르지 않다. 마을에 새로 들어선 보안등 때문에 깨 농사를 망쳤다는 지인의 푸념도 들린다. 일정한 어둠이 있어야 꽃을 피우는 작물이건만, 인공 불빛은 낮을 연장했다. 사람의 일상에는 편리한 등이 농부에게는 생계의 그림자가 된 셈이다.
돌아보면 사람도 다르지 않다. 한국인의 평균 수면 시간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하위다. 스마트폰 불빛은 잠자리를 늦추고, 회사 업무와 과제는 밤까지 이어진다. 식물이 밤을 잃고 제철을 놓치듯 인간도 잠을 잃으면 균형을 잃는다. 피로와 예민함이 쌓이고 건강까지 무너진다.
밤은 치유의 시간이다. 어둠 속에서 나무는 계절을 준비하고, 사람은 몸과 마음을 회복한다. 숲에도 밭에도 사람의 몸에도 밤은 필요하다. 깊은 잠이 쌓여야 생명은 맑은 아침을 맞는다.
오일만 논설위원
2025-09-2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