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뒷모습
황수정 기자
수정 2025-11-17 04:00
입력 2025-11-17 00:56
네팔의 어느 부족은 손님이 떠난 후 비질을 하지 않는다는 글을 읽은 적 있다. 누군가의 머문 흔적을 지우지 못하는 사람들. 그이들이 모여 사는 마을에 놀러 가 보고 싶었다. 내 뒷등이 까만 점이 될 때까지 바라봐 주려나.
점원이 바짝 따라붙어 내가 만진 물건을 족족 정리하는 가게에서는 마음이 상한다. 그런 곳에서는 견디지 못해 슬며시 나오고 만다.
누구인가 잘 다녀간 발자국을 간직하는 마음. 그 마음은 아름답지 않은가.
잘 익어서 갑니다, 잘 붉어서 갑니다, 잘 살다 갑니다. 중얼거리며 떠나는 가을을 서운하지 않게 배웅해야지.
가을나무들이 제 발등에 제 잎을 다 떨굴 때까지 기다려 주기, 가을벌레들이 그만 울 때까지 귀를 열어 주기, 열린 창문을 닫아걸지 못하고 머뭇거리기.
산 아래 찻집 안주인이 비를 들고 마당의 난분분 은행잎을 어쩔 줄 모른다. 쓸까 말까 올려보고 내려보고. 한참 망설이다 가만히 빗자루를 놓는다.
나는 보았네, 보내지 못해 서성거리는 마음. 머뭇거리는 저 마음으로 가을은 여기까지 왔네. 이마가 잠기도록 붉은물이 들었네.
황수정 논설실장
2025-11-1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