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탑골공원과 어르신 문화공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수정 2025-10-02 01:38
입력 2025-10-02 00:48
이미지 확대


서울의 대표적 개봉관 중 하나였던 허리우드극장이 실버영화관으로 탈바꿈한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55세 이상이면 2000원에 영화를 볼 수 있다. 일반인도 55세 이상과 동행하면 역시 2000원이다. 적은 비용으로 영화를 보고 싶은 젊은이라면 극장 입구에서 마주친 어르신과 ‘즉석 친구’를 맺어도 뭐랄 사람이 없다.

이달 험프리 보가트와 잉그리드 버그먼의 ‘카사블랑카’, 찰턴 헤스턴과 잭 호킨스의 ‘벤허’, 제인 와이먼과 록 허드슨의 ‘마음의 등불’을 잇달아 상영한다. 모두 추억의 영화에 그치지 않는 시대를 뛰어넘는 명작이다. 영화가 시작되고 입장하면 못 본 앞부분을 다음 회에 볼 수 있는 것도 재미있는 규칙이다.

탑골공원 주변을 흔히 ‘어르신의 거리’라고 부르지만 실상은 ‘어르신 문화 부재(不在)의 거리’다. 민간이 운영하는 실버영화관이 사실상 이 거리의 유일한 어르신 문화공간이다. 이런 상황에서 탑골공원 담장 밖 장기판은 이름뿐인 어르신의 거리에서 즐길거리 없는 어르신들이 스스로 찾아내고 정착시킨 문화였다.

서울 한복판의 장기판 행렬이 그 자체로 가치 있는 무형문화유산이자 훌륭한 관광자원이라는 인식이 없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탑골공원이라는 문화유산을 보존하겠다고 또 다른 문화유산을 없애 버린 꼴이다. 어르신들이 편하게 즐기는 곳이자 서울을 대표하는 명물거리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정비했어야 한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에 대한 인식 부족이 안쓰럽다.



장기판을 몰아낸 데 따른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자 종로구청이 주변에 장기를 둘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들린다. 그나마 대안을 마련하려 노력하는 해당 구청의 자세는 칭찬받아 마땅하다. 그럴수록 어르신들이 이 거리에서 원하는 문화가 고작 장기판뿐일지 다시 한번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탑골공원 장기판 논란이 어르신의 거리에 ‘어르신 종합문화공간’을 건립하는 것을 본격적으로 논의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

서동철 논설위원
2025-10-0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