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어나지 않았다면’ 한번쯤 생각했다면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수정 2025-11-25 00:06
입력 2025-11-25 00:06

모리오카 와세다대 교수 철학서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낫다”는 속담이 있다. 아무리 삶이 비천하고 괴롭더라도 죽는 것보다는 사는 것이 훨씬 낫다는 뜻이다. 기후 위기, 전쟁 공포, 팬데믹, 점점 심해지는 빈부 격차와 불평등, 취업난, 관계의 단절 등에 시달리는 현대인도 과연 그렇게 생각할까.

이미지 확대


●반출생주의 사상 파헤치며 모순 짚어

모리오카 마사히로 일본 와세다대 인간과학부 교수의 ‘태어나지 않는 게 더 나았을까?’는 제목부터 독자를 당혹게 한다. 저자는 최근 전 세계를 뒤덮고 있는 ‘반출생주의 사상’을 생명철학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접근했다. 모리오카 교수는 “인간은 왜 자신의 존재를 부정하고, 또 어떻게 그 부정을 넘어설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동서양 고전과 철학자들, 그리고 현대의 반출생주의 철학자 데이비드 베네타까지 수많은 문학과 철학을 넘나들며 반출생주의 철학의 역사적 근원을 파헤쳤다.

반출생주의는 인간이 태어나는 것과 출산하는 것을 부정하는 사상으로, 베네타는 인간이 세상에 태어나는 것이 문제이기 때문에 인간이 태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는 ‘탄생해악론’을 펼쳤다.

●고통과 쾌락은 존재해야만 갖는 가치

모리오카 교수는 “인류의 역사는 탄생 부정과 삶의 긍정이라는 드라마의 연속”이었다며 탄생에 대한 부정과 그에 따른 삶의 고통, 고립과 불안은 현대에 갑자기 튀어나온 것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프리드리히 니체, 부처 등 많은 철학자는 이 세상이 고통과 슬픔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태어나는 순간부터 ‘고통’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모리오카 교수는 ‘만약 내가 태어나지 않았다면’이라는 반사실적 상상이 완수되려면 상상하는 자기 존재 자체를 지워야 하는 역설적 상황이 되므로 무의미한 논쟁이라고 단언했다. 그래서, 살아가는 의미의 문제를 태어난 것의 긍정 문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모리오카 교수는 “세상에서 얻은 쾌락에는 반드시 그 쾌락을 준비한 곳의 고통이 땅속줄기처럼 이어져 있어서, 쾌락을 끌어올리면 이어져 있는 고통까지 함께 끌어올려진다”며 “반출생주의자들이 이야기하는 것처럼 인간의 쾌락과 고통은 따로 떼어 가치를 비교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유용하 전문기자
2025-11-25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