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이스라엘 관계에 독자 행보 부담
중동 내 안보·경제까지 고려한 조치
22일 외교부에 따르면 정부는 팔레스타인과 공식 외교 관계를 맺지 않았다. 이에 팔레스타인에는 대사관이 아니라 대표부만 뒀다. 다만 지난해 4월 팔레스타인의 유엔 가입에는 찬성했다. 정부는 우선 인도적 지원에 집중하며 ‘두 국가 해법’의 실질적 효과가 있는 시점에 국가로 승인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동맹국 미국이 이스라엘을 지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정부가 독자적으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기는 쉽지 않다. 또 중동 내 안보 및 경제 분야의 주요 파트너인 이스라엘과의 관계도 고려한 조치로 풀이된다.
역시 미국과 동맹 관계인 일본도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은 당분간 보류한다는 방침을 밝힌 상태다. 이와야 다케시 외무상은 지난 19일 기자회견에서 “현 단계에서의 승인은 팔레스타인 정세 안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노골적으로 이스라엘 편을 들며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을 반대해 온 상황에서 일본이 독자적으로 움직이기에는 부담이 크다는 설명이다.
서울 허백윤 기자·도쿄 명희진 특파원
2025-09-23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