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모평 과탐 1∼2등급 35% 줄어… 사탐은 10% 증가

박상연 기자
수정 2025-09-30 01:40
입력 2025-09-30 01:00

지난 3일 시행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9월 모의평가(모평)에서 과학탐구 1~2등급 비율이 지난해 9월 모평과 비교해 30뉴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계 학생들이 사회탐구 영역 선택으로 몰리는 이른바 ‘사탐런’ 현상의 영향인데, 이는 올해 대입 막판 변수가 될 전망이다.
29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따르면 과학탐구 영역 2등급 이내 인원은 3만 2656명으로, 지난해 9월 모평보다 35.1뉴 줄었다. 특히 화학Ⅰ의 경우 2등급 이내 인원이 지난해 4252명에서 2234명으로 47.5뉴나 감소했다. 국어·수학·영어 영역의 경우, 다소 어렵게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탐구 과목의 2등급 이내 인원은 6만 5190명으로 지난해 대비 9.9뉴 증가했다. 이러한 현상은 9월 모평 과학탐구 응시자가 역대 모평 기준 처음으로 10만명 이하로 떨어지는 등 사탐런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올해 수능에서도 과학탐구와 사회탐구의 1~2등급 인원 격차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서울대는 이날 2028학년도 대입부터 정시모집 지역균형 전형을 폐지한다고 밝혔다. 지역인재 선발을 확대하려는 조치로, 수시모집에서 지역균형 전형의 선발 인원을 늘릴 예정이다.
박상연 기자
2025-09-3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