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학폭, 대입 당락 갈랐다… 4명 중 3명꼴 불합격

김지예 기자
수정 2025-11-17 23:57
입력 2025-11-17 23:57
작년 대학 134곳 중 절반 학폭 감점
397명 중 298명에 불이익 탈락최고 20점까지 감점 처리 하기도
올 대입부터 학폭 기록 의무 적용
“학폭 걸리면 떨어져” 인식 확산
현 고3이 치르는 올해 대학 입시(2026학년도)부터 모든 대학이 학교폭력(학폭) 기록을 감점 요소로 의무 적용하는 가운데 지난해 전국 134개 대학 중 절반가량이 학폭 이력을 입시에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대학이 학폭 이력을 반영한 학생은 총 397명이고 이 중 298명(75%)이 불합격 처리됐다. 지난해에는 학폭 반영이 대학 자율이었지만 올해는 모든 전형에서 의무화되는 만큼 탈락 사례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17일 서울신문이 국회 교육위원회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교육부에서 받은 ‘전국 대학 학교폭력 감점제 반영 현황’에 따르면 전국 국공립·사립대 61곳이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내 학폭 조치 사항을 대입 전형에 반영했다. 이는 국내 4년제 대학 193곳 가운데 자료를 제출한 134곳의 현황을 집계한 결과다. 학폭 이력을 반영하지 않은 대학의 경우 경미한 학폭은 학생부에 기재되지 않아 알 수 없었거나 대학마다 학폭 처분에 대한 감점 방식이 다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세부적으로 보면 학폭 이력이 반영된 학생 4명 가운데 3명꼴로 불합격 처리됐다. 수시모집에서는 370명 가운데 272명(73.5%), 정시에서는 27명 가운데 26명(96.3%)이 탈락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성적 위주의 정시 전형에서도 학폭 감점이 합격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학생이 탈락한 학교는 계명대로 총 38명(수시 34명·정시 4명)이었다. 경북대가 22명(수시 19명·정시 3명), 경기대가 19명(수시 16명·정시 3명)으로 뒤를 이었다.
상위권 수험생의 경쟁이 더 치열한 서울권 주요 대학 입시에서도 ‘학폭 탈락자’가 적지 않았다. 서울대는 정시에서 2명, 연세대와 성균관대는 수시에서 각각 3명과 6명이 학폭 감점을 받아 불합격됐다. 한양대(12명), 서울시립대(10명), 경희대·건국대(각 6명), 동국대(9명) 등도 있었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같은 점수 안에 수십명이 몰려 있어 소수점 몇 점 차로 합격이 결정된다”며 “학폭 감점이 당락을 좌우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학폭 조치는 경중에 따라 1~9호로 나뉜다. 1호(서면사과)부터 3호(교내봉사)는 비교적 가벼워 조치 사항을 이행하면 학생부에 기재되지 않아 대학이 학폭 여부를 알 수 없다. 반면 중간 이상인 4호(사회봉사)·5호(특별교육·심리치료)는 졸업 후 2년간 보존되고 6호(출석 정지)·7호(학급 교체)·8호(전학)는 4년간, 9호(퇴학)는 영구 보존된다.
대다수 대학은 4호 이상의 학폭부터 감점 폭을 높이고 8~9호는 부적격 처리하는 방식을 적용했다. 가장 많은 탈락자가 나온 계명대는 총점에서 최고 20점까지 감점 처리했다. 이처럼 ‘학폭 탈락’이 현실화하자 학교 현장에서는 “학폭에 걸리면 대학에 떨어질 수 있다”는 인식도 확산하고 있다. 김 의원은 “학폭으로 다른 학생에게 상처를 남긴 학생은 책임을 져야 한다”며 “다만 갈등을 원만히 해결할 교육적 접근과 제도도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예 기자
2025-11-18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