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 꽃게 팔아요… ‘선’ 넘는 편의점

박은서 기자
수정 2025-10-09 01:02
입력 2025-10-09 01:02
신선식품 흥행하며 영역 확장
GS25, 꽃게 6000상자 당일 완판GS더프레시와 가리비 판매 협업
세븐일레븐, 1~3분기 매출 20%↑
CU·이마트24도 관련 상품 강화

GS리테일 제공
신선식품을 미래 먹거리로 삼고 경쟁력 강화에 나선 편의점 업계가 시장이나 대형마트가 주로 팔던 품목을 들여오며 영역을 무한 확장하고 있다. 채소·고기는 물론 최근엔 생물 꽃게 같은 수산물까지 편의점 매장에서 팔리고 있다.
8일 GS리테일에 따르면 GS25는 지난달 17, 25일 두 차례에 걸쳐 생물 꽃게 1상자(3㎏)를 2만 9900원에 판매했다. 준비한 6000상자가 당일 모두 완판됐다. 편의점에서만 총 20t 규모의 생물 꽃게가 팔린 것이다. 100g당 약 996원이라는 대형마트 수준의 저렴한 가격, ‘내 집 앞 구매’라는 거리상 이점이 인기 요인으로 꼽힌다.

GS리테일 제공
GS25가 생물 꽃게를 취급할 수 있었던 건 슈퍼마켓 GS더프레시의 역량을 전수받았기 때문이다. GS더프레시의 신선식품 공급·운영 역량을 GS25와 공유하는 상품기획(MD) 통합 전략을 추진한 결과다. 앞서 지난 3월엔 GS더프레시와 GS25가 홍가리비를 함께 조달해 공동 판매에 나섰다. 슈퍼마켓과 편의점이 함께 산지와 사전 물량 계약을 맺은 덕에 저렴한 가격대에 물량을 수급할 수 있었다.
GS리테일 관계자는 “제철 수산물이 편의점에서도 충분히 소비가 가능하다는 걸 입증한 사례”라고 했다. 지난달 17~30일 GS25의 신선식품 매출은 전년 대비 3.1배 증가했는데, 이중 수산물의 증가율은 1451%에 이른다.
세븐일레븐도 지난 1~3분기 신선식품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늘었다. 지난 4월 세븐일레븐은 같은 롯데 계열사인 롯데마트·슈퍼와 협력해 신선식품 품목을 확대했다. 롯데마트가 검증한 채소, 과일, 정육 등의 상품을 소포장 위주로 선보이며 단가는 기존보다 5~10% 낮췄다. 세븐일레븐은 롯데 계열사의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고 각 사의 노하우를 교류해 상품 기획과 조달 과정상 혁신을 도모하겠다는 방침이다.
CU는 1~2인 가구를 겨냥해 990원 또는 1990원으로 나눈 양파·대파·마늘 등을 판매 중이며, 이마트24도 지난 4월부터 신선식품 전용코너인 ‘프레시24’의 시범 운영에 들어간 바 있다.
박은서 기자
2025-10-0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