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귀의 시선] 빈 호주머니에게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25-09-29 01:58
입력 2025-09-29 01:17

“가녀린 가을꽃. 아버지에게도
고통을 고하지 못하고 울음을
삼키는 이 세상 수많은 착한
아들과 딸들이 코스모스다”

누구도 핍박해 본 적 없는 자의
빈 호주머니여


언제나 우리는 고향에 돌아가
그간의 일들을
울며 아버님께 여쭐 것인가


- 김사인, ‘코스모스’

매일 새로이 시를 읽고 번역하지만 계절이 바뀌면서 찾아 읽는 시들은 신기하게 자주 겹쳐진다. 가을이면 생각나는 시 ‘코스모스’. 구름이 다채롭게 하늘 풍경을 만드는 9월을 보내는 지금, 추석이 가깝다. 가을은 두고 떠나온 고향이 절로 생각나는 계절. 코스모스는 고향을 생각할 때 가장 가까운 꽃. 이 꽃으로 이런 시가 가능하다.

김사인 시인은 감정을 크게 보여 주지 않고 마음 깊이 묵직한 곳을 울리는 시를 쓴다. 그를 통해 나는 시의 언어가 겉으로 드러나는 울음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깊은 뿌리를 흔들어 보이지 않는 씨앗을 퍼뜨리는 일이라는 걸 배웠다. 그 씨앗이 어디로 날아가 무엇이 될지 아무도 모르지만 나는 그 씨앗의 발아를 믿기에 이렇게 시를 이야기한다.

“누구도 핍박해 본 적 없는 자의 / 빈 호주머니여”라는 짧은 두 줄은 많은 걸 함축한다. 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스스로 누군가를 핍박한다고 생각하며 사는 이는 많지 않을 게다. 대통령으로서 최고 권력을 멋대로 휘두르다 감옥에 갇힌 이는 검사로 살면서도 많은 이들을 핍박했겠지만 스스로는 정의를 행사한다고 굳게 믿었을 것이다. 전쟁을 일으키는 자, 폭력을 행사하는 자, 지위를 이용해 위력을 행사하는 이, 모두 ‘핍박한다’는 행위에 대해 멀리 다른 별의 일이라 생각할 것이다. 아마도. 인간은 그렇게 스스로를 속이는 자여서, 그토록 많은 죄를 짓고도 아무렇잖게 살아가는 것인지도 모른다.

아름다운 시는 궁핍한 현실을 통과하면서 나온다. 나는 지금 어떤 생을 생각한다. 안쓰럽고 슬픈 그 시간을. 아무도 핍박해 본 적이 없는 자의 빈 호주머니를. 어디서도 힘을 행사해 본 적 없는 무해한 사람. 까탈 부리지 않고 그 자체로 평화인 사람. 손해를 감당하면서도 그저 고요한 사람.

그 사람에게도 속울음이 있다. 그래서 시인은 묻는다. 그 속울음을 어디다 대고 풀어놓느냐고. 시인은 고향의 아버님을 찾지만 우리는 안다. 고향에서 우리를 기다리는 아버님은 이제 없다는 것을. 부재하는 존재란 것을. “언제나 우리는”과 “울며 아버님께 여쭐 것인가” 사이엔 찾고 싶어도 찾지 못하는 부재의 그림자가 드리운다. 아버님께 그간의 서러움을 울며 여쭙고 싶지만, 아마 아버님이 살아계신 동안에는 마음이 아파 그러지 못했을 게다. 아버님이 떠나시고 난 후에는 그야말로 없으니 마음속 그리움 안에서만 가능한 토로가 되었고.

우리는 알게 된다. 아버님께 울며 여쭐 것인가 묻는 건 시 안에서만 가능하다고. 하지만 시인은 그를 통해, 속울음을 말하지 못하고 우는 이 세상 수많은 아들과 딸의 마음을 어루만지고 있다. 조직에서 고통을 당하고도 참아야만 했던 이들, 억울함과 분노를 꾹꾹 누르고 있던 이들, 아픔을 삭이느라 마음속 응어리가 병이 되어도 되갚아 주지 못한 이들. 누구도 핍박해 본 적 없는 이들의 빈 호주머니를 코스모스에 빗대는 시인의 마음을 생각해 본다.

코스모스는 들녘에 무리 지어 핀다. 바람에 한들한들 흔들리는 가녀린 가을꽃이다. 아버지에게도 고통을 고하지 못하고 울음을 삼키는 이 세상 수많은 착한 아들과 딸들이 코스모스다. 핍박하는 자들은 핍박을 모르고, 핍박당하는 이들은 입이 닫혔지만 이 정갈한 시의 언어 안에서 그 시간은 꽃으로 피어난다. 만나기만 하면 타인에게 생채기를 내는 이들이 있다. 그 무디고 거친 언어에 마음 어지럽던 시간이 내게도 있었다. 당신에게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 가을, 전생처럼 아득하다. 더디게 지나는 시간을 우리, 잘 견디지 않았나. 이 글을 쓰면서 나는 혼자 작은 축하파티를 한다. 헤아려 보니 이 지면에서 독자들을 만난 횟수가 어느덧 61번째다. 시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시의 마음을 나누며 이 세계를 조금이라도 더 환하게 밝히며 살아가는 빈 호주머니의 여러분들, 여리나 강인한 코스모스들께 감사드린다.

정은귀 한국외대 영미문학문화학과 교수

이미지 확대
정은귀 한국외대 영미문학문화학과 교수
정은귀 한국외대 영미문학문화학과 교수
2025-09-2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