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50대 김부장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미경 기자
김미경 기자
수정 2025-11-28 00:50
입력 2025-11-28 00:50
이미지 확대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부장 이야기’라는 최근 인기 드라마 제목을 접했을 때 부럽다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정부가 무슨 대책을 내놔도 잡히지 않는 고가의 서울 자기 집을 가진 연봉 높은 대기업 부장이라면 성공한 인생 아닌가. 그런데 드라마 속 50대 김부장은 그렇게 공들이던 임원 승진을 앞두고 좌천돼 희망퇴직이라는 벼랑 끝에 몰린다. 집에서도 회사에서도 외로운 ‘꼰대’ 가장의 실상을 다룬 드라마 포스터 카피는 씁쓸하다. ‘대기업에 집도 있고 차도 있고 다 있는데 가만 보니 내가 없네 골때리네.’

현실은 드라마보다 더 가혹하다. 회사마다 구조조정·희망퇴직 등이 이어져 주변 ‘50대 김부장들’은 만나면 한숨부터 쉰다. 인사철마다 ‘나이순’ 좌천과 희망퇴직 권고에 고민한다. 보험사에 다니는 50대 지인은 “승진 나이가 6자(1960년대생)에서 7자(1970년대생)로 내려간 지 좀 됐는데 최근엔 8자(1980년대생)가 치고 올라와 7자 상당수가 떠나야 하나 고민한다”고 털어놨다. 자녀 학비에 대출금에 돈 들어갈 곳은 많은데 위아래로 치이다가 ‘찬밥 신세’가 된 느낌이라는 것이다.

후배들의 ‘위협’뿐 아니라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과도 경쟁해야 한다. 기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빠른 변화에다 AI발 자동화는 50대 관리자 부장의 역할을 바꾸고 있다. 정년 65세 연장이나 퇴직 후 재고용 등이 추진되고 있지만 그 전에 내 자리가 유지될지는 불투명하다.

50대 김부장의 우울한 자화상은 이뿐만이 아니다. 국가인권위원회가 어제 밝힌 ‘2025 인권의식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50대 남성 직장 상사’가 인권침해 가해자로 지목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보건복지부가 어제 발표한 ‘2024년도 고독사 발생 실태조사’ 결과에서 고독사한 50대 남성은 1028명(26.2%)으로 60대 남성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회사에서도 집에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50대 김부장이 ‘100세 시대’에 생존할 수 있을까. 그들의 오랜 연륜을 인정하고 재교육을 강화해 사회 자산으로 활용해야 한다.

김미경 논설위원
2025-11-28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