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자전거 이용 10만건 넘어섰다
수정 2011-06-15 00:26
입력 2011-06-15 00:00
“이렇게 가까운 곳에서 언제든 자전거를 빌릴 수 있어 참 편리합니다.”
서울시민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자전거를 빌려 탈 수 있는 공공 자전거 시스템 이용자가 도입 7개월 만에 10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14일 시민들이 공공 자전거를 타고 한강변을 시원스레 달리고 있다.
14일 오전 10시 지하철 6호선 월드컵경기장역에서 만난 박모(46)씨는 서울시의 공공자전거 스테이션에서 단돈 1000원에 자전거를 빌려 타며 “여의도까지 자전거를 타고 산책하는 기분이 최고”라고 엄지손가락을 세웠다.
서울시민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자전거를 빌려 타고 시내를 이동할 수 있는 공공자전거 시스템이 시범운영 7개월만에 시민들의 호응을 얻으며 빠르게 정착되고 있다. 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도입한 공공자전거 이용자가 지난 12일 기준으로 11만 559명을 기록했다.
프랑스 파리의 ‘벨리브’(VELIB)와 캐나다 몬트리올의 ‘빅시’(BIXI) 등 자전거 대여 시스템을 벤치마킹한 공공자전거는 교통카드, 신용카드 등으로 요금을 내고 자전거를 빌려 탈 수 있는 시스템이다.
상암 디지털미디어시티(DMC)와 여의도 지역 43개 스테이션에 440대가 운영되고 있다. 주말에는 한강 망원지구와 여의도 요트마리나에 자전거를 싣고 탈 수 있는 페리도 왕복 14회 운영 중이다.
하루 평균 이용자는 지난 2월 이전 359명에서 5월 이후 612명으로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서비스 품질 조사에서도 이용시민의 85% 이상이 ‘만족한다’고 답했고, 확대 설치에 찬성하는 의견도 93%에 달한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시는 ▲시민신고와 불편사례별 개선책 마련 ▲폐쇄회로(CC)TV 및 스피커 설치 ▲통합운영센터 가동 ▲기업체와의 제휴로 교통유발부담금 감면 등 혜택 제공 ▲공공자전거 이용문화 정착 캠페인 등 ‘공공자전거 업그레이드 5대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일부 거치대에서 자전거가 빠지지 않는 일이 없도록 조작법 안내 스티커를 부착하고,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대여번호를 발송할 때도 안내 문구를 추가하기로 했다. 이용자가 불편을 겪고 있을 때는 거치대에 설치된 CCTV로 현장을 확인해 스피커나 전화로 조치 사항을 안내한다. 시민의 불편에 대응하기 위해 운영 인력을 11명에서 21명으로 늘린다.
김지훈기자 kjh@seoul.co.kr

서울시민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자전거를 빌려 타고 시내를 이동할 수 있는 공공자전거 시스템이 시범운영 7개월만에 시민들의 호응을 얻으며 빠르게 정착되고 있다. 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도입한 공공자전거 이용자가 지난 12일 기준으로 11만 559명을 기록했다.
프랑스 파리의 ‘벨리브’(VELIB)와 캐나다 몬트리올의 ‘빅시’(BIXI) 등 자전거 대여 시스템을 벤치마킹한 공공자전거는 교통카드, 신용카드 등으로 요금을 내고 자전거를 빌려 탈 수 있는 시스템이다.
상암 디지털미디어시티(DMC)와 여의도 지역 43개 스테이션에 440대가 운영되고 있다. 주말에는 한강 망원지구와 여의도 요트마리나에 자전거를 싣고 탈 수 있는 페리도 왕복 14회 운영 중이다.
하루 평균 이용자는 지난 2월 이전 359명에서 5월 이후 612명으로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서비스 품질 조사에서도 이용시민의 85% 이상이 ‘만족한다’고 답했고, 확대 설치에 찬성하는 의견도 93%에 달한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시는 ▲시민신고와 불편사례별 개선책 마련 ▲폐쇄회로(CC)TV 및 스피커 설치 ▲통합운영센터 가동 ▲기업체와의 제휴로 교통유발부담금 감면 등 혜택 제공 ▲공공자전거 이용문화 정착 캠페인 등 ‘공공자전거 업그레이드 5대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일부 거치대에서 자전거가 빠지지 않는 일이 없도록 조작법 안내 스티커를 부착하고,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대여번호를 발송할 때도 안내 문구를 추가하기로 했다. 이용자가 불편을 겪고 있을 때는 거치대에 설치된 CCTV로 현장을 확인해 스피커나 전화로 조치 사항을 안내한다. 시민의 불편에 대응하기 위해 운영 인력을 11명에서 21명으로 늘린다.
김지훈기자 kjh@seoul.co.kr
2011-06-1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