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CBT 부분도입땐 인력·비용 절감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0-08-13 00:22
입력 2010-08-13 00:00

1949년 9과목 →1993년 37과목 →2009년 42과목

공무원시험은 시대적 필요에 따라 과목이 조금씩 추가되거나 제외되는 등 사회상을 반영해 왔다.

1949년 8월12일 처음으로 치러진 공무원시험(당시 고등고시 행정과, 사법과로 구분)은 행정법 등 총 9과목으로 치러졌다. 당시엔 법학 과목이 많았지만 요구되는 지식이 시대 변화에 따라 달라지면서 시험과목도 늘어났다. 1960~70년대 경제성장에 이어 1980년대 교육, 사회복지 분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자 1982년 교육학 등 13개 과목이 추가돼 총 25과목이 됐다.

1990년대에는 세계화 시대에 발맞춰 외국어 과목들이 추가됐다. 1993년 불어 등 5과목이 추가돼 총 37과목으로 늘어났다. 지난해엔 정보기술(IT) 수요를 반영해 정보체계론 등 5과목이 추가됐다.

문제도 1980년대까지는 단순 암기 지식 평가에 머물렀다. 그러나 93년부터 출제경향이 사례형으로 바뀌면서 시사문제 등의 출제 비중이 높아지고 지문 길이도 길어졌다.

시험방식도 공무원 자질, 역량을 중점 평가하는 쪽으로 바뀌고 있다. 2004년부터 도입된 PSAT는 문제해결능력 같은 잠재력, 공직자로서 자질, 태도를 평가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선 시험과목이 지나치게 늘어나 관리상 비효율적이라는 비판도 일기 시작했다. 시험과목이 세분화되다 보니 다양한 분야에 전문성을 가진 융합형 인재를 채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2011년부터 부분 도입될 컴퓨터기반시험(CBT)은 현재 고시제 유지에 드는 인력, 비용도 상당부분 절감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고시를 통해 1명을 선발하는 데 500만원 정도가 소요되고 시험관리관은 8명이 투입된다.

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2010-08-13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