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개월째 커진 ‘아기 울음소리’… 7월 출생아 4년 만에 가장 많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강동용 기자
강동용 기자
수정 2025-09-25 00:02
입력 2025-09-25 00:02

출생아 2만 1803명… 2만명대 회복
30대 초 여성 늘고 출산 정책 효과
결혼 건수도 9년 만에 최대치 기록

이미지 확대


월별 출생아 수 증가세가 13개월째 이어졌다. 결혼 건수도 9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며 향후 출산율 반등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에 ‘청신호’를 켰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7월 출생아는 2만 1803명으로 1년 전보다 1223명(5.9%) 늘었다. 7월 기준으로 2021년 2만 2364명 이후 가장 많았다.

여자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0.8명으로 1년 전보다 0.04명 늘었다. 올해 1월부터 2만명대를 이어 온 월별 출생아는 6월에 1만명대로 떨어졌다가 한 달 만에 다시 2만명대를 회복했다.

●합계출산율도 0.8명으로 늘어

출생아 증가세는 지난해 7월부터 이어졌다. 올해 들어 7월까지 누적 출생아는 14만 7804명으로 지난해보다 7.2% 증가했다. 1~7월 기준 역대 최대 증가 폭이며, 이 기간 출생아가 늘어난 건 2015년 이후 10년 만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혼인 증가와 정부의 출산 지원 정책, 30대 초반 여성 인구 수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출산의 전제가 되는 혼인도 꾸준히 늘고 있다. 7월 혼인 건수는 2만 394건으로 1년 전보다 1583건(8.4%) 증가했다. 같은 달 기준 2016년 7월 이후 9년 만의 최대치다. 혼인 증가 추세는 지난해 4월부터 1년 4개월째 지속됐다.

●결혼·출산 인식도 긍정적으로 개선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도 개선되고 있다. 이날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발표한 ‘제4차 결혼·출산·양육 및 정부 저출생 대책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미혼 남녀(25~49세)는 지난해 3월 55.9%에서 올해 8월 62.6%로 6.7% 포인트 증가했다.



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현재 자녀가 없는 이들의 출산 의향도 같은 기간 32.6%에서 40.2%로 늘었다. 미혼 남녀의 출산 의향은 29.5%에서 39.5%로 10% 포인트 올랐다.

세종 강동용 기자
2025-09-2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