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자살률 13년 만에 최고… 40대는 사망 원인 1위

강동용 기자
수정 2025-09-26 01:16
입력 2025-09-26 01:16
10만명당 자살 29.1명 6.6% 늘어
남성 41.8명, 여성보다 2.5배 많아

자살률이 13년 만에 최대치로 치솟았다. 특히 경제 허리인 40대에선 자살이 처음으로 암을 제치고 사망원인 1위가 됐다. 1983년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처음이다.
통계청은 25일 이런 내용의 ‘2024년 사망원인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사망자는 35만 8569명으로 전년보다 6058명(1.7%) 늘었다. 코로나19 엔데믹으로 일시적으로 줄었던 사망자는 2년 만에 다시 증가로 돌아섰다.
고의적 자해(자살) 사망자는 1만 4872명으로 894명(6.4%) 증가했다. 자살자 수가 2년 연속 늘어 2011년 이후 13년 만에 최다였다. 자살률(인구 10만명 당 자살 사망자 수)은 29.1명으로 전년보다 1.8명(6.6%) 늘었다. 역시 2011년 이후 최대였다. 성별로는 남자(41.8명)가 여자(16.6명)보다 2.5배 많았다.
‘자살률 1위 국가’란 불명예도 여전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연령표준화 자살률은 한국이 26.2명으로 평균(10.8명)의 2.4배 수준이다. 연령표준화 자살률이란 OECD 기준인구를 바탕으로 연령 구조 차이를 제거한 사망률을 뜻한다.
연령대별로는 10대~40대에서 자살이 사망원인 1위였다. 50대 이상부턴 암이 1위였다. 40대에선 처음으로 자살이 1위로 올라섰다. 40대 사망원인에서 자살이 차지하는 비중은 26.0%로 암(24.5%)보다 많았다. 핵심 경제 활동 연령대인 40대에서는 자살 사망 비중이 높아진 것은 경제적 요인이 클 거란 분석이 나온다.
세종 강동용 기자
2025-09-26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