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 응시 4배 늘었지만, 필수과 ‘공백’ 그대로

이현정 기자
수정 2025-11-23 16:32
입력 2025-11-23 16:32
홍윤기 기자
전공의 복귀가 이어지면서 내년 전문의 시험 응시자가 올해의 4배 수준으로 늘었다. 규모는 회복됐지만, 심장혈관흉부외과·소아청소년과 등 필수과의 지원 저조는 여전히 뚜렷하다.
23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대한의학회가 지난 19일 마감한 2026년도 제69차 전문의 자격시험 원서 접수 결과, 총 2155명이 신청했다. 올해 2월 의정 갈등 속에서 치러진 제68차 시험 응시자 557명의 3.9배다.
전문의 시험은 의대 졸업 후 인턴·레지던트 수련을 모두 마쳐야 응시할 수 있다. 그러나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전공의가 대거 이탈하면서 올해 전문의 배출 인원은 평년의 20% 수준인 500여 명에 그쳤다.
의정 갈등 봉합 이후 9월 전공의가 대규모로 복귀하면서 상황은 달라졌다. 전국 수련병원의 전공의 규모는 갈등 이전의 76%까지 회복됐고, 마지막 연차 수련 인력도 크게 늘었다. 이로써 내년 전문의 시험 응시자 규모도 의정 갈등 이전인 2024년 시험응시자(2782명)의 77.5% 수준까지 회복됐다.
과목별로는 내과 497명이 가장 많고, 마취통증의학과(163명), 가정의학과(152명), 정형외과(146명), 영상의학과(116명)가 뒤를 잇는다. 병리과(13→23명), 진단검사의학과(28→30명)는 2024년보다 응시자가 오히려 증가했다.
반면 심장혈관흉부외과는 2024년 30명에서 내년 14명으로 절반으로 줄었다. 소아청소년과(2024년 대비 60.6%), 외과(62.4%), 응급의학과(63.3%)도 응시자 감소가 두드러졌다.
이현정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