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별 가능한가요?” 중국산 김치…‘금배추’ 파동에 15% 늘었다

김소라 기자
수정 2025-11-24 12:27
입력 2025-11-24 12:27
올해 누적 김치 수출·수입액 동반 증가
수입액이 더 커 무역적자 확대…사실상 중국산
배추 가격 폭등에 지난해 수입 15% 증가
‘K-푸드’ 열풍에 힘입어 올해 우리나라의 김치 수출액이 증가했지만, 정작 국내에서는 ‘금배추’ 파동으로 인해 김치 수입액이 증가했다. 대부분 중국산인 김치 수입액이 김치 수출액을 뛰어넘으면서 무역 적자가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4일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김치 누적 수출액은 지난달 기준 1억 3739만 달러(1950억원)로 작년 동기(1억 3467만달러) 대비 2% 증가했다.
김치 수입액은 1억 5946만달러(2260억원)로 작년 동기(1억 5459만달러) 대비 3.1% 늘었다.
김치 수출액과 수입액이 동반 증가한 가운데 수입액이 수출액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해당 기간 무역수지 누적 적자는 2207만 달러에 달했다. 작년 동기(21만달러) 대비 10.3% 늘어난 것이다.
K-푸드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으면서 김치 수출액은 지난해 1억 6357만달러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지만, 김치 수입액은 16.1% 증가한 1억 8986만달러로 수출액을 앞질렀다. 올해 김치 수입액 역시 지난해를 뛰어넘어 역대 최고치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 수입되는 김치는 사실상 중국산이다. 한때 ‘알몸 배추’ 논란 등으로 중국산 김치의 위생에 대한 우려가 커지며 중국산 김치를 꺼리는 흐름이 있었지만, 이상기후 여파로 배추 가격이 고공행진 하면서 외식업계와 가공식품 업계를 중심으로 중국산 김치 수요가 늘었다.
배추 한 포기 가격이 전년 대비 50%까지 치솟는 ‘금배추 파동’ 속에 식당 등에서 중국산 김치를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 확산했다. 자영업자들은 직접 김치를 담그거나 국산 김치를 들여와 내놓기를 포기하고 중국산 김치를 내놓았으며, 소비자들도 식당에서 국산 김치와 중국산 김치를 따져가며 먹기 어렵게 됐다.
이에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지난해부터 “한국산 김치와 중국산 김치를 구별 가능한가?”라는 게시물이 확산하고 있다. ‘한국인 김치능력평가’라는 제목으로 배추김치 사진 4~5개를 올려놓고 이중 중국산 김치를 구별할 수 있는지 묻는 게시물이다. 또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공개한 ‘김치 구별법’ 게시물도 퍼지고 있다.
한편 올해 김치 수출액 역시 역대 최고 기록을 쓸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수출액이 더 증가하면서 무역 적자가 커질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정부는 김치 수출을 확대해 무역적자를 줄인다는 구상이다.
김소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