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LTE 쓰는데 비용은 SKT가 2배 더 낸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수정 2025-11-19 17:28
입력 2025-11-19 16:25
정부, 연내 주파수 재할당 방침 발표
2.6㎓ 단가 SKT 21.3억 vs LGU+ 10.8억
이미지 확대
서울 중구 SK텔레콤 본사. 연합뉴스
서울 중구 SK텔레콤 본사. 연합뉴스


정부의 3G·LTE 주파수 재할당 방침에 관한 발표를 앞두고 조 단위에 이르는 주파수 할당 대가(가격)가 어떻게 산정될지 통신업계 관심이 쏠린다.

19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달 말 공청회를 열어 재할당 방안을 공개하고, 이후 의견 수렴을 거쳐 연내 3G·LTE 주파수 재할당 방침을 발표할 예정이다.

주목되는 부분은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각각 60㎒, 40㎒를 보유하고 있는 LTE 2.6㎓(기가헤르츠) 대역이다. 두 회사는 같은 LTE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지만, SK텔레콤은 연간 1㎒당 21억 3000만원, LG유플러스는 10억 8000만원으로 비용이 2배 이상 차이나는 것으로 추산된다.

LG유플러스는 2013년 이 주파수를 처음 할당받으면서 낙찰가 4788억원으로 싸게 들어간 반면, SK텔레콤은 2016년 1조 2777억원으로 다소 비싸게 낙찰받았기 때문이다. LG유플러스는 2021년 같은 주파수를 재할당 받으면서 첫 낙찰가보다 27.5% 할인받았고, SK텔레콤은 올해 가격을 산정한 뒤 2027년 재할당 받을 수 있다.

SK텔레콤은 LTE 주파수의 가치가 처음 할당 시기와 많이 달라진 만큼 재할당 할 때의 가격은 첫 낙찰가격이 아닌 현재 주파수의 가치를 바탕으로 재산정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미지 확대
서울 용산구 LG유플러스 용산 사옥. 2025.10.23 연합뉴스
서울 용산구 LG유플러스 용산 사옥. 2025.10.23 연합뉴스


“경매 낙찰가는 스스로 정한 가격”반면, LG유플러스는 해당 주파수를 아무도 사용하지 않을 때 LG유플러스가 개척한 것이고, SK텔레콤의 가격은 경매를 통해 SK텔레콤이 스스로 정한 것인데 이를 재할당 과정에서 변경해 달라는 것은 맞지 않다고 반박했다.

5G 이용자가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LTE 활용도가 적지 않은 만큼 통신업계에선 LTE 주파수 재산정 가격을 둘러싼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신융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