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연내 주파수 재할당 방침 발표 2.6㎓ 단가 SKT 21.3억 vs LGU+ 10.8억
이미지 확대
서울 중구 SK텔레콤 본사. 연합뉴스
정부의 3G·LTE 주파수 재할당 방침에 관한 발표를 앞두고 조 단위에 이르는 주파수 할당 대가(가격)가 어떻게 산정될지 통신업계 관심이 쏠린다.
19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달 말 공청회를 열어 재할당 방안을 공개하고, 이후 의견 수렴을 거쳐 연내 3G·LTE 주파수 재할당 방침을 발표할 예정이다.
주목되는 부분은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각각 60㎒, 40㎒를 보유하고 있는 LTE 2.6㎓(기가헤르츠) 대역이다. 두 회사는 같은 LTE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지만, SK텔레콤은 연간 1㎒당 21억 3000만원, LG유플러스는 10억 8000만원으로 비용이 2배 이상 차이나는 것으로 추산된다.
LG유플러스는 2013년 이 주파수를 처음 할당받으면서 낙찰가 4788억원으로 싸게 들어간 반면, SK텔레콤은 2016년 1조 2777억원으로 다소 비싸게 낙찰받았기 때문이다. LG유플러스는 2021년 같은 주파수를 재할당 받으면서 첫 낙찰가보다 27.5% 할인받았고, SK텔레콤은 올해 가격을 산정한 뒤 2027년 재할당 받을 수 있다.
SK텔레콤은 LTE 주파수의 가치가 처음 할당 시기와 많이 달라진 만큼 재할당 할 때의 가격은 첫 낙찰가격이 아닌 현재 주파수의 가치를 바탕으로 재산정해야 한다는 의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