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낌 없이 자신의 권력을 휘두르는 자에게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한다”고 말한다. 이와 관련해 필자는 프랑스 왕 필리프 4세(1285~1314)가 가장 먼저 떠오른다. 그는 성자로 시성을 받은 루이 9세의 손자로 ‘가장 기독교적인 왕’이라는 중세 프랑스 왕권의 이데올로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왕이었다. 지방분권적이었던 프랑스에 중앙집권적인 왕권을 확립하려 했고, 보편적인 교황권의 개입을 차단하고자 했다. 즉 형식적이었던 국왕의 지위에 대내적 최고 우위권과 대외적 독립성을 확고히 부과하려는 시도였다.
본격적으로 ‘국왕 주권’이라고 할 만한 것을 확립하려는 그의 정책은 당연히 다양한 기성 세력과의 충돌을 야기했다. 먼저 대표적 지방분권 세력인 플랑드르 자치도시들과 지속적인 전쟁을 벌였다. 그는 이 전쟁을 국왕 개인의 사적인 전쟁이 아닌 국가 전체의 공적인 전쟁으로 선전했고, 당시로서는 처음으로 전국적인 차원의 국가 과세를 실시했다. 이는 다른 제후처럼 국왕도 자신의 영지에서만 세금을 거둘 수 있다는 관례를 벗어난 것이어서 전국적인 논란을 불렀다.
불만은 왕국 내 성직자의 지위와 관련해 더 첨예하게 나타났다. 서유럽 세계 전체를 아우르는 교황의 사람인 성직자에게도 필리프 4세는 국왕 주권을 적용하려고 했기 때문이었다. 프랑스인 성직자의 궁극적인 정체성은 프랑스인과 성직자, 둘 중 어디에 있는가가 분쟁의 핵심이었다. 필리프 4세 측에 따르면, 그는 교황의 은총을 받은 성직자이기 전에 애초 국왕의 신민으로 먼저 태어난 사람이었다. 그렇기에 그는 국왕 과세권과 재판권에 종속된다.
이는 교황과의 분쟁으로 이어졌다. 가장 강력하게 교황권을 주장한 보니파키우스 8세는 파문장을 준비했으나, 국왕 주권이 확립된 프랑스에서 파문장을 근거로 국왕에게 도전하는 세력이 등장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필리프 4세는 전국의 모든 신분 대표를 소집해 ‘성스러운 왕’으로서 교황이 이단이라고 고발했다. 로마로 파견된 그의 군대는 교황에게 린치를 가했고 치욕을 당한 교황은 한 달 후 사망했다. 그리고 얼마 후 프랑스 왕권과 유착된 아비뇽 교황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후로도 필리프 4세는 기독교적인 국왕 주권을 내세우며 유대인 10만여명을 왕국 밖으로 추방했고, 국제적 조직인 성전 기사단 프랑스 지부를 전면 폐쇄한 뒤 기사단장을 화형시켰다.
14세기라는 시대적 맥락에서 볼 때 필리프 4세는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둘렀다. 하지만 그의 말년은 왕실 내에서의 추문과 전국적인 귀족 봉기로 크게 흔들렸다. 종종 무소불위의 권력자는 당대에 강한 도덕적 비판을 받으며 그 결과 또한 비극적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한 단계 더 나아가 역사적 흐름의 변화를 읽어 보자. 무엇이 정말 바뀌고 있었는가? 무엇보다 필리프 4세의 치세는 정치 질서 차원에서 봉건 제후와 교회가 중심인 세계로부터 당대로서는 전대미문인 ‘국가’(state) 중심 세계로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었다.
홍용진 고려대 역사교육과 교수
이미지 확대
홍용진 고려대 역사교육과 교수
2025-09-30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