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가을 우체통 앞에서

박성원 기자
수정 2025-09-30 02:37
입력 2025-09-30 01:05

‘가을엔 편지를 하겠어요 / 누구라도 그대가 되어 / 받아 주세요….’
1970년대부터 널리 불려진 ‘가을편지’는 낙엽이 뒹구는 이맘때면 라디오에서 많이 흘러나오던 노래다. 요즘은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고 짤막하게 메시지를 주고받다 보니 편지를 써 본 지가 언제인가 싶다. 덴마크는 올해 말로 400년간 이어 온 우체국의 편지 배달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한다. 서울 거리에서도 언제부터인가 빨간 우체통을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며칠 전 오후에 짬이 나서 덕수궁길을 걷다가 우체통을 하나 발견했다. 빨간색이 아닌 노란색이라는 게 좀 이채로웠다. 우편함 옆엔 ‘소중한 고민을 익명으로 보내 주시면 손편지로 답장을 전해 드립니다’라는 안내판이 놓여 있었다. 사연을 알아본즉 보육원 아이들과 익명으로 손편지를 주고받는 사업을 하는 한 비영리단체가 전국 95곳에 개설한 우편함 중 하나였다. 매달 2000통의 고민이 이 우편함들에 도착하고 800명의 ‘우체부’가 손편지로 답장을 작성한다고 한다. 이름처럼 ‘따뜻한 기운’이 소통되는 우체통이 아닌가 싶다.
박성원 논설위원
2025-09-30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