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년 만에 ‘대재앙’…“80% 죽었다” 발칵 뒤집힌 日 대체 무슨 일?
하승연 기자
수정 2025-11-20 23:00
입력 2025-11-20 23:00
‘바다의 우유’로 불리는 굴이 일본인들의 식탁에서 자취를 감췄다. 최근 일본 굴 주산지에서 양식 굴 80%가 폐사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면서, 본격적인 제철을 맞아야 할 시기에 출하가 사실상 중단됐다.
20일(현지시간) 일본 방송 TBS뉴스 등에 따르면 히로시마현, 효고현, 오카야마현 등 세토내해 전역의 양식 굴 산지에서 평균 80%의 굴이 폐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양식 굴 생산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히로시마현 구레시의 한 양식장 관계자는 “10개 중 10개가 죽었다고 할 정도다. 1개라도 살아 있으면 다행”이라며 “여름 더위로 30% 정도 폐사하는 경우는 있지만 이 정도 규모는 창업 이후 60년 만에 처음”이라고 토로했다.
효고현의 한 굴 전문점주는 “10월 중순 효고현산 굴이 나온다고 들었는데 ‘살이 적고 수량이 안 맞는다’는 이유로 계속 늦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이 가게는 간판 메뉴인 효고현산 굴을 거의 확보하지 못해 홋카이도산 등 다른 지역 굴로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47년간 굴 양식을 해온 효고현의 한 수산업체 대표는 현지 언론에 “(굴이) 전부 입이 벌어져 있다. 대부분이 죽었다. 80% 정도 죽은 느낌”이라며 “이례적인 사태”라고 설명했다.
살아남은 굴도 정상이 아니다. 크기가 너무 작고 색도 하얗지 않으며 물기가 많고 살이 차지 않은 상태다. 출하할 수 있는 수준까지 성장한 굴은 전체의 10%에 불과하다. 매년 연말 선물용 굴을 출하해 온 히로시마현의 한 양식장은 올해 출하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 스즈키 노리카즈 농림수산상은 지난 19일 현지를 시찰한 뒤 “수십년 동안 이런 심각한 상황은 처음이라는 업자들의 목소리를 들었다”며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가 긴밀히 협력해 전체적으로 경영을 지탱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왜 이러한 상황이 발생했는지에 대해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 온도 상승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 히로시마 해수 온도는 예년보다 약 2도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는 강수량이 적어 물 유입이 줄면서 바닷물이 충분히 식지 않았고, 비가 적어 염분 농도도 높은 상태가 유지됐다.
굴은 6~8월 고수온기에 산란하고 수온이 내려가면 산란을 멈추고 살을 키운다. 그러나 올해는 비가 적어 수온이 잘 내려가지 않아 굴이 산란을 계속하며 지친 데다 높은 염분 농도가 지속되면서 폐사와 생육 지연이 발생했다는 분석이다.
하승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