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일·야간에 외부와 단절되는 전북도 산하기관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임송학 기자
임송학 기자
수정 2025-11-24 15:15
입력 2025-11-24 14:48

홈페이지 대표 전화와 당직실 번호 달라 불통
귀찮은 민원 응대 피하기 수법이라는 비난 높아
일부 기관은 당직자 점심시간 이석, 근태 불량

전북특별자치도 일부 직속기관과 사업소가 당직제도를 운영하면서도 휴일과 야간에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대표 전화를 받지 않아 민원인들의 불만이 높다. 급한 용무가 있는 민원인들이 외부에서 연락을 취하려 해도 당직 근무자들과 소통이 안 돼 기관 이미지와 행정 서비스의 질을 떨어뜨린다는 지적이다.

이미지 확대
전북도 일부 산하기관들이 휴일과 야간에 대표 전화를 받지 않아 민원인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청사 전경.
전북도 일부 산하기관들이 휴일과 야간에 대표 전화를 받지 않아 민원인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청사 전경.


24일 서울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전북자치도 인재개발원·보건환경연구원 등 일부 직속 기관과 사업소가 휴일과 야간에는 대표전화를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에 공개하지 않은 당직실 전화번호로만 근무자와 연락이 가능해 귀찮은 민원인 응대를 피하기 위한 수법이라는 비난이 높다. 당직수당을 별도로 받고 대체 휴일까지 챙기는 공무원이 근무중에 기관 대표 전화를 받지 않는 것은 직무유기나 다름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북자치도 인재개발원의 경우 인터넷에 공개된 대표 전화번호는 (063)290-5113번이지만 주말과 휴일 등에는 일절 연락을 받지 않는다. 전북보건환경연구원 역시 대표 번호인 (063)290-5200번은 공무원들이 출근하지 않는 날은 불통이다.

교습생이 많은 전북도립국악원은 홈페이지에 대표 전화조차 공개돼있지 않은 상태다. 홈페이지에 실린 교육학예실 전화 (063)290-6460번은 평일 근무 시간에만 통화가 가능하다. 어린이창의체험관은 휴관일(월요일)에는 이용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자동응답기만 돌아간다. 전북개발공사도 평일 업무시간에만 대표 전화를 받는다. 다른 연락처는 공개되지 않았다. 도립미술관도 대표 번호(290-6888)와 당직실 번호(290-6880)가 다르다.

전북도 일부 산하기관이 주말과 휴일에 외부와 연락이 끊긴 이유는 내부 비상 연락용 당직 전화만 운영하기 때문이다. 당직 근무자들이 공개된 대표 전화는 받지 않아 민원인들은 발을 동동 구르는 실정이다.

전북자치도 본청도 당직 사령실에 입력된 전용전화로만 산하기관의 당직 보고를 받아 대표 번호 연락 두절 여부는 파악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더구나 수산기술연구소와 어린이창의체험관은 당직 보고 대상 기관으로 등록되지 않아 주말과 휴일에는 전혀 관리하지 않고 있다.

본청과 멀리 떨어진 사업소는 근태 관리가 느슨한 것도 문제다. 진안군 백운면에 있는 산림환경연구소는 대표 전화 번호와 당직실 번호가 일치하지만 점심 시간인 23일 정오부터 오후 1시가 넘은 시간대까지 전화를 받지 않았다. 김제시에 설치된 농식품인재개발원은 재택근무를 하는 당직자가 대표 번호를 자신의 핸드폰으로 착신전환해놓았으나 상당 시간이 지난 뒤에야 연락이 됐다.

반면, 도 본청과. 농업기술원, 도로관리사업소 등은 대표 전화와 당직실 연락처가 일치해 휴일에도 민원 응대가 가능했다.



이에 대해 전북도 관계자는 “홈페이지 대표 전화와 당직실 연락처가 다를지라도 착신 전환을 통해 외부 전화를 받는 것이 상식이자 당직 근무자를 배치한 배경이다”며 “이유와 원인을 파악해 개선하겠다”라고 말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