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초 여객선’ 제때 방향 못튼 건 ‘휴대전화 딴짓’ 추정…나뭇가지 박힐 정도 충격

신진호 기자
수정 2025-11-20 10:17
입력 2025-11-20 10:02
전남 신안군 장산도 인근 해상에서 대형 여객선 퀸제누비아2호가 무인도를 들이박아 좌초한 사고는 항해 책임자가 휴대전화를 보는 등 딴짓을 하다가 발생한 것으로 해경 초기 수사에서 드러났다.
20일 수사 당국에 따르면 해경은 퀸제누비아2호 주요 승무원을 대상으로 한 1차 조사에서 협수로 구간 내 자동 운항 전환 탓에 여객선과 무인도 간 충돌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했다.
당시 항해 책임자는 수동으로 운항해야 하는 구간에 들어섰는데도 휴대전화를 보느라 자동항법장치에 계속 선박 조종을 맡긴 것으로 조사됐다.
이 때문에 선박이 변침(방향 전환) 시기를 놓쳤고, 무인도로 돌진해 선체 절반가량이 뭍에 걸터앉는 사고로 이어졌다.
사고 발생 지점인 신안군 장산도 인근 해상은 연안 여객선들의 항로가 빼곡한 협수로에 해당한다.
협수로에서는 주의를 더 기울여야 해 통상 선박은 자동항법장치에 의존하지 않고 수동으로 운항한다.
해경은 운항 과실이 드러난 만큼 관련자들을 형사 처분할 방침이다.
퀸제누비아2호는 제주에서 전날 오후 4시 45분쯤 승객 246명과 승무원 21명 등 총 267명을 태우고 목포를 향해 출항했다. 출항 약 3시간 30분 만인 오후 8시 16분쯤 신안군 장산도 인근 무인도인 족도와 충돌해 선체 절반가량이 섬 위로 올라서며 좌초했다.
좌초 당시 충격으로 넘어지는 등 통증을 호소한 승객 27명이 병원으로 분산 이송됐으며 큰 부상은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뱃머리 찌그러지고 나무 잔가지 박혀
이날 오전 입항한 퀸제누비아2호 외관에서는 사고 당시 충격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좌초한 여객선은 이날 오전 5시 44분쯤 자력으로 목포 삼학부두에 입항했다. 사고 발생 9시간 30분여 만이다.
뉴스1에 따르면 섬과 충돌한 뱃머리(선수) 부분은 심하게 찌그러져 있었고, 선수 우측은 겹겹이 밀려들어가 심하게 일그러진 모습이었다.
찌그러진 부위에는 나무 잔가지가 사이사이 박혀 있었다. 암초에 부딪힌 부위는 검은색과 녹색 얼룩이 짙게 남아 있었다.
일부 구멍이 난 부분은 아슬아슬하게 안쪽이 보일 듯 벌어져 있어 당시 충격의 강도를 짐작게 했다.
신진호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