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명성산의 눈물 약수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성원 기자
박성원 기자
수정 2025-11-24 00:02
입력 2025-11-23 23:32
이미지 확대


지난 주말 경기도 포천과 강원도 철원에 걸쳐 있는 명성산을 다녀왔다. 동네 아파트 단지 내 공원에서도 울긋불긋 단풍이야 볼 수 있지만, 학창 시절을 보낸 벗들과 모처럼 얘기꽃을 피우며 함께 한 가을산행은 역시 맛이 달랐다. 산등성이에서 보이는 푸른 빛깔의 산정호수도 눈이 시리게 아름다웠지만, 은빛 억새들이 물결을 이룬 억새바람길은 색다른 장관이었다.

전설에 따르면 후삼국시대 태봉국을 세운 궁예가 왕건에게 패하고 쫓기다가 이 산에서 피살됐다고 한다. 궁예가 망국의 슬픔에 통곡하자 산도 따라 울었다는 설에서, 혹은 주인을 잃은 신하와 말이 산이 울릴 정도로 울었다 하여 명성산(鳴聲山)으로, 속칭 울음산으로 불리게 됐다는 것.

팔각정 근처에서 ‘궁예약수터’가 눈에 띄었다. 궁예왕의 망국의 한을 달래듯 눈물처럼 샘솟아 예부터 극심한 가뭄에도 마른 적이 없다고 한다. 스스로 미륵불로 칭했던 궁예가 민심을 잃고 몰락한 과정을 그려 보며 새삼 ‘무신불립’(無信不立·사람들의 믿음이 없으면 나라가 존립할 수 없다)이라는 공자의 가르침이 떠올랐다.

박성원 논설위원
2025-11-2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