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국립중앙박물관의 이슬람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수정 2025-11-24 00:02
입력 2025-11-23 23:33
이미지 확대


페르시아만의 반도국가 카타르는 세계 3위 석유매장량을 갖고 있다. 대형 스포츠 이벤트를 자주 유치하는 나라로도 기억된다. 수도 도하에서 열린 1994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에서 한국이 본선에 오른 ‘도하의 기적’도 생각난다.

현지인들이 부르는 수도의 원래 이름은 알다우하다. 영국 통치자들이 편의대로 바꾼 것이 보편적 명칭이 됐다. 다우하는 큰 나무, 곧 그늘을 가리킨다고 한다. 진주를 채취하던 어촌마을 도하는 1939년 석유 발견과 함께 현대적 도시로 성장한다. 카타르는 21세기 도하를 중동과 세계를 잇는 금융·문화·관광 허브로 발전시킨다는 목표를 세웠다. 지하자원은 유한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카타르의 문화적 안목은 눈여겨봐도 좋겠다. 도하의 도시계획은 전통과 이슬람 문화의 정체성을 유지 보존한다는 원칙 이래 이뤄졌다. 수크 와키프를 활기있는 전통시장으로 복원하고 해변에는 전세계 건축학도의 순례지로 떠오른 이슬람예술박물관을 세웠다. 두 명소는 페르시아만과 현대적 스카이라인이 조화를 이루는 문화거리 코니시로 연결된다.

이슬람예술박물관은 피라미드 모양의 파리 루브르박물관으로 유명한 중국계 미국 건축가 이오밍 페이가 설계했다. 바다에 떠 있는 박물관에서 히잡을 쓴 여성이 외부를 바라보는 듯한 모습이 인상적이다. 이 박물관은 카타르와 중동에 그치지 않고 아시아, 아프리카, 이베리아반도의 이슬람 문화유산을 대거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전시뿐 아니라 이슬람 문화예술 연구에서도 노력을 인정받는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이슬람예술박물관과 협력해 이슬람실의 문을 열었다. 국내에선 볼 수 없었던 이슬람 예술의 정수 83점이 출품됐다. 이슬람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은 물론 이슬람권 출신 이주자들의 자부심을 높이는 부수 효과도 거둘 것이다. 이번 전시 이후에도 두 박물관이 협력해 이슬람실이 상설관으로 유지되길 기대해 본다.

서동철 논설위원
2025-11-2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